[뉴스포커스]美 이란군 실세 살해로 중동 군사충돌 임박

  • 4년 전
[뉴스포커스]美 이란군 실세 살해로 중동 군사충돌 임박


미국이 이란 군부 실세인 거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공습해 살해하면서 미국과 이란이 전쟁 직전까지 가는 모양샙니다.

이란은 혹독한 복수를 예고했고 미국은 보복 시 52곳을 공격하겠다며 맞불을 놨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란은 2015년 체결된 핵 합의에서 정한 핵 프로그램 동결·제한 규정을 더 이상 지키지 않겠다고 밝히며 핵 합의를 사실상 탈퇴했습니다.

관련 내용들, 중동지역학박사 김수완 한국외대 아랍어통번역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미군의 공습으로 이란 군부의 최고 실권자인 가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 사령관이 사망하면서 중동에 일촉즉발의 전운이 감돌고 있습니다. 이미 미국과 이란 간 사이는 벌어질 대로 벌어진 상태였다고 하죠. 이렇게까지 상황이 악화된 근본적 이유가 있을 듯 합니다.

피살된 솔레이마니는 어떤 인물이기에 이란 국민들이 이렇게 분도하는 건가요?

솔레이마니가 이끈 쿠드스군이 이란 혁명수비대의 정예부대라고 하는데, 이란혁명수비대와 쿠드군에 대한 설명도 필요할 듯 합니다.

미국 민간인 1명이 사망하자 미국 안보 최고위 참모진들이 모여 대응 공격을 논의하면서 참모진들은 이란 선박 또는 미사일 시설 공격을 제시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솔레이마니 제거를 지시해 참모진들도 깜짝 놀랐다고 하는데요. 보통 전쟁이 아니고선 지휘관을 타격하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잖습니까? 트럼프 대통령은 왜 이 시점에서 솔레이마니 제거를 선택했을까요?

이란 정부는 현지 시간 5일 성명을 통해 우라늄 농축 상한을 지키지 않겠다며 2015년 체결된 핵 합의에서 사실상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이란이 매우 강경한 조처를 내놓은 건데요. 이란은 미국이 경제·금융제재를 철회해야 핵 합의에 복귀하겠다는 입장인데요. 이란의 핵 개발 재개 의미, 어떻게 봐야할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군이 공습한 지역은 이라크 영토였잖아요. 이라크 정부의 동의 없이 폭격을 한 건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이라크로서는 자국 영토에서 이란과 미국이 충돌하는 건 바라지 않을 듯 합니다.

트럼프는 이란의 보복 공격 땐 52곳에 반격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경고를 하기도 했습니다. 중동 지역에 병력을 증파하기로 했죠. 앞으로 미국과 이란이 전면전까지도 불사할 거라 보시나요?

미국이 이란 군부실세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제거한 것과 관련해 국제사회는 이번 공습이 심각한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자제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도 호르무즈 파병 결정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중동 위기,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미국의 이란 사령관 공습과 양국 간 군사적 긴장이 북한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도 궁금한데요.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중국과 러시아 외교 수장간 대화를 인용해서 관련 내용을 보도했는데요. 곧 외무성 등을 통해 입장을 내놓지 않겠나 싶은데, 중동 문제가 북미 비핵화 협상에 어떤 영향을 줄 거라 보시나요?

지금까지 김수완 한국외대 아랍어통번역학과 교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