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보다 소화기가 더 무서워"…'폭발' 방지 리콜

  • 4년 전
◀ 앵커 ▶

폭발이 잇따랐던 아파트 주방용 소화기 18만 대에 대해 소방청이 리콜을 권고했지만, 소화기 제조업체는 이를 거부했습니다.

그러자 정부는 소화기를 설치한 대형 건설업체들에게 '리콜'을 요청하고, 제조업체에 '강제 리콜' 명령을 추가로 내릴 예정입니다.

보도에 이문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소화용기에서 밸브가 떨어져 나갔고, 의자와 주방 곳곳엔 분출된 소화액이 흩뿌려져 있습니다.

[피해 주민]
"폭발되는 순간에 봤는데, 문이 이만큼 열리더니 거의 압력밥솥 터지는 것처럼 굉음과 함께 (터졌거든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주방 후드 위에 설치된 주방용 소화기가 갑자기 폭발하거나, 소화액이 뿜어져 나왔다는 증언이 잇따랐습니다.

소방청은 밸브 결함으로 결론짓고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신우전자에서 생산한 주방용 소화기 18만 6천대에 대해 리콜을 권고했습니다.

이어서 소방청은 주방용 소화기를 설치했던 아파트 건설업체를 상대로도 리콜을 권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제조와 설치업체 모두에게 책임을 물은 겁니다.

대상은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GS건설과 롯데건설 등 국내 대형 건설사 13곳인데, 지난해 6월까지 설치됐던 문제의 소화기가 파열될 경우 무상 교체를 권고했습니다.

소방청은 또 리콜을 거부하고 있는 제조업체 측엔 이달 안에 '강제 리콜'을 명령할 방침입니다.

[김석환/소방청 소방산업과]
"제품 결함에 의한 파열사고 발생 제품에 대해 소방청에서는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해 리콜 명령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소방청에 접수된 소화기 폭발과 누출 피해 신고는 전국 아파트 114개 단지에서 2천146건에 달합니다.

건설사가 소방청의 리콜 권고를 수용하면, 피해를 입은 아파트 주민들은 이르면 다음 주부터 해당 건설사에 무상 교체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MBC뉴스 이문현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