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 뉴스] 시청 구매 목록엔 온통…시의원 떡집·시의원 식당·시의원 카센터

  • 5년 전
1. 의원님, 우리 의원님

오늘 이 뉴스 시작하겠습니다.

충남 아산시 공무원들이 시의원들과 그 가족이 운영하는 업체를 챙겨오다가 감사에 적발이 됐습니다.

아산시가 시의원들이나 그 가족이 운영하는 업체와 체결한 부정계약은 4년간 무려 109건.

금액으로는 2억여원이 넘습니다.

부정 품목도 다양했는데요.

시의회 의장 배우자가 운영하는 떡집에서 9백만원이 넘는 떡을 구매하는가 하면, 다른 시의원 아들 식당에서는 밥값으로만 천만 원을 넘게 썼습니다.

또 시의원 가족이 운영하는 카센터에서만 관용차를 수리하고 시의원 장모 업체에서만 사무용품을 구입하기도 했습니다.

충남도청 감사위원회는 아산시에 기관경고를 내렸습니다.

해당 공무원들도 재발방지 교육을 받고 업체들의 입찰도 일정기간 금지됐는데요.

아산시 관계자는 반성의 기회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아산시 관계자]
"시의원 가족이 하는데에서 사지 말아야 된다는 조항도 인지를 못했고 개선이 필요한 사안이 아닌가 그래요."

2. 안락사 판매

일부 반려동물 장례 업체들이 안락사 광고에 나섰습니다.

시중 병원보다 저렴한 가격과 빠른 처리를 내세우면서 홍보를 하기도 했습니다.

평균 50%이상 저렴한 비용!

편리한 원스톱 처리!

거기에 당신의 결정을 항상 응원한다는 문구까지!

평범한 쇼핑몰의 홍보같아 보이는 문구들!

하지만, 사실 이 글들, 반려동물 장례업체들의 안락사 광고문구입니다.

법적 문제 없이 건강한 반려동물의 안락사가 가능하다는 업체의 글도 있습니다.

장례까지 토탈서비스도 가능하다고 강조하네요.

반려동물의 안락사를 유도하고, 업체들의 돈벌이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데요.

업체들은 안락사 과정을 안내하고 홍보하고 건 고객들의 문의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비전문가에 의한 고통사 가능성과 안락사 유도 가능성을 지적합니다.

[채수지/동물의 권리를 옹하는 변호사들 공동대표]
"마취제가 적절한 용량이 쓰이지 않거나, 사용되지 않고 고통사 할 수 있는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전진경/동물보호단체 카라 이사]
"동물의 경우 의료비를 줄이기 위한 안락사가 없다고 말할 수가 없는 상황이거든요. 현실이. 그럴 때 홍보가 된다면 부적절한 안락사가 시행될 우려가 있는 게 맞아요."

현재 우리나라 동물법은 안락사의 주체나 대상, 방법, 그리고 처벌 규정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말 그대로 누구나 어디서든 동물을 죽여도 아무런 법적 처벌을 받지 않는다는 뜻인데요.

법 제도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오늘 이 뉴스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