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F] 댓글 찬반 논란

  • 5년 전
포털 사이트 다음이 연예 뉴스의 댓글 서비스를 잠정 폐지하면서 인터넷 댓글 찬반 논쟁이 뜨겁습니다.

해외에선 악성 댓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요?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와 가장 비슷한 방식으로 온라인 뉴스가 소비됩니다.

주로 검색 포털에서 뉴스를 보고 댓글도 달리죠.

하지만 최근, 사용자가 가장 많은 대표 포털 '야후 재팬'에서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반복적으로 대량 올라오는 댓글들을 삭제하기로 했습니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언론사들이 댓글 창을 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구글에서 뉴스 기사를 누르면 언론사 사이트로 연결되잖아요.

댓글 관리 정책은 언론사마다 다르지만 최근엔 규제하는 곳이 많아졌습니다.

미국 뉴욕타임즈는 기사에 따라 선택적으로 댓글 창을 만들거나 없애고 있고요.

영국 BBC와 로이터 통신은 SNS플랫폼이나 의견란으로 댓글 창을 대신하는데 오히려 독자 참여가 늘어 공론장 위축에 대한 부담을 덜었습니다.

영국의 가디언은 신중한 검토 작업을 거쳐 댓글을 제한하기로 했어요.

10년 간 축적한 7천 만개의 뉴스 댓글을 분석한 결과 여성과 흑인 등 소수 집단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 댓글이 많은 걸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토론을 방해하거나 사전 검열을 위해서가 아니라 특정 세력이 댓글 분위기를 지배하는 걸 방지하는거죠.

도배된 댓글, 상위권에 오른 댓글이 여론인 것처럼 호도될 수 있으니까요.

선동적이고 차별적인 댓글, 악플들은 연예·정치 뉴스에만 있는 게 아니예요.

지난 해 한 설문에서 조사 대상의 4분의 1이 온라인에서 언어폭력과 명예훼손을 당한 적이 있다고 했고 악플러 연령대는 10대에서 전 연령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실명과 주소를 확인한 뒤에 인터넷에 글을 쓰는 인터넷 실명제가 도입되는 듯 했지만 '표현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이유로 위헌 판결을 받았고 요.

페이스북 같은 해외 SNS에는 적용이 어려울 수도 있죠.

최근엔 댓글 ID와 IP를 공개하는 '인터넷 준실명제'와 '차별금지법' 등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인터넷은 이미 생활이 됐습니다.

오히려 SNS로 더 자주 소통하는 시대죠.

비판과 악플의 경계없이 남긴 글은 언젠가 부메랑이 돼 돌아올 지 모릅니다.

말 한 마디가 지닌 힘과 가치를 제대로 아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