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까지 선거제 개편 합의"…열흘 만에 단식 중단

  • 5년 전

◀ 앵커 ▶

여야 5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포함한 선거제 개편을 내년 1월까지 처리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로써 열흘째 계속된 단식 농성은 중단됐지만 합의가 너무 모호해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해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야 3당의 요구인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합의문 제일 첫머리에 담겼습니다.

[홍영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

의원 수를 얼마나 늘릴지, 지역구 의원을 어떻게 뽑을지, 이런 문제는 정개특위 활동시한을 연장해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목표는 내년 1월 국회 처리입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권력구조 문제와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한국당 요구가 반영돼, 선거제 법안 개정과 동시에 개헌 논의도 하기로 합의됐습니다.

이에 따라 손학규, 이정미 두 야당 대표도 열흘 째 이어오던 단식을 풀었습니다.

[손학규/바른미래당 대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에 크게 합의를 이뤘음을 국민 여러분과 당원 동지 여러분께 알려드립니다."

하지만 이번 합의가 선거제도 개편으로까지 이어질 지는 미지수입니다.

일단 핵심 쟁점인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대한 합의가 '검토한다' 수준으로, 너무 추상적입니다.

여기에 개헌 논의까지 더해지면 각 당의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논의는 더 복잡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한편, 여야는 12월 임시국회에서 사립유치원 개혁법안을 적극 논의해 처리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 한국당 요구인 공공기관 채용비리 국정조사를 위한 특위를 내일까지 구성하기로 했고, 김상환 대법관 후보자 인준안도 표결처리하기로 했습니다.

탄력근로제 확대법안은 경사노위 의견을 참고해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이해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