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각 청와대] 靑, NSC 두 차례 소집…"북·미 직접 소통 필요"

  • 6년 전

◀ 앵커 ▶

청와대는 갑작스러운 취소 발표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NSC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하루 사이에 두 차례나 소집하면서 긴박하게 움직였는데요, 청와대를 연결해서 더 자세한 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김민욱 기자, 어젯밤에 처음 소식이 전해졌을 때는 충격이 큰 분위기였는데 청와대 지금 분위기 어떻습니까?

◀ 기자 ▶

네, 청와대는 긴박함과 긴장감 속에 미국과 북한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하루를 보냈습니다.

어젯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을 취소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직후, 문재인 대통령은 비서실장과 안보실장 외교·통일, 국방부 장관, 국정원장 등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상임위원들을 긴급 소집했습니다.

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회의는 오늘 새벽까지 계속됐는데요.

문 대통령은 우선 "매우 당혹스럽고 유감"이라는 뜻을 나타낸 뒤 "북한과 미국의 정상이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나가길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청와대는 전했습니다.

◀ 앵커 ▶

이 NSC 상임위원회는 오늘 새벽뿐만 아니라 오후에도 열렸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오늘 오후 회의는 정의용 안보실장 주재로 열렸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소결정에 대해 북미정상회담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한 북한 외무성 김계관 제1부상의 담화 내용 등을 중심으로 향후 사태의 흐름과 대응책 등이 검토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회의 결과는 다시 북한과 미국 두 정상의 직접 소통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었는데요.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의 발표 내용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윤영찬/청와대 국민소통수석]
"북미 정상 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 앵커 ▶

이렇게 정상 간의 직접 소통을 하려면 경색된 지금의 분위기를 다시 대화 국면으로 바꿔야 할 텐데요.

우리 정부의 역할이 다시 주목받고 있죠.

◀ 기자 ▶

네. 청와대는 향후 우리 정부의 역할이 대화의 동력을 다시 살리는 데 있다고 보고 가용한 채널을 모두 가동한다는 방침입니다.

청와대는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 회의 결과를 전하면서 "판문점 선언에 따라 남북 관계 개선 노력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는데요.

"이런 노력들이 모여 북미 관계 개선 및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계기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강경화 외교장관은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통화를 가졌는데요.

이 자리에서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의 회담 취소 결정을 설명한 뒤 미국은 앞으로도 북한과의 대화 지속에 대한 분명한 의지가 있으며 북미 간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계속 노력해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외교부가 전했습니다.

상황 전개를 봐가며, 처음 북미정상회담의 물꼬를 텄을 때처럼 대북, 대미 특사 카드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MBC뉴스 김민욱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