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후보 부동산 대책 '재개발·재건축'이 관건

  • 6년 전

◀ 앵커 ▶

이번에는 6.13 지방선거 정책보도입니다.

오늘(18일)은 서울시장 후보들의 주거 정책을 짚어봅니다.

정부가 집값 잡기 수단으로 강한 재건축 규제를 들고 나온 상태에서 이에 대한 각 후보들의 입장이 관심사인데요.

서혜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리포트 ▶

서울 종로구 창신, 숭인동.

흙길은 보도블록으로 포장됐고, 담벼락 곳곳은 벽화로 장식됐습니다.

전통과 원형 보존이라는 방침하에 박원순 서울시장이 '도시재생사업' 1호 지역으로 선정한 곳입니다.

박 시장은 이명박 시장 시절 뉴타운 바람과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정책을 서울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규정하고, 재개발·재건축 규제 유지 방침을 견지해 왔습니다.

[박원순/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서울시가 이러한 정책으로 꾸준히 가면 투기나 폭등 사태는 막고, 그 대신 서민들에게는 좀 더 많은 주택 공급할 수 있지 않을까…"

서울시장 경쟁 후보들은 박원순 시장의 부동산 정책 기조가 환경미화사업에 불과하고 서울의 성장 동력을 줄인다며 제동을 걸었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박 시장과 명확한 반대 각을 세우면서 재개발·재건축 규제 폐지를 공약했습니다.

아파트 35층 층수 제한도 없애고,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문수/자유한국당 서울시장 후보]
"(제가) 7월 1일 취임하면, 첫 번째로 제가 재개발·재건축 막힌 곳을 시원하게 도장을 찍어드리겠습니다."

안철수 후보는 박원순, 김문수 후보의 절충안인 '준 공영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용적률을 높여서 재개발을 진행하는 공약으로 한편으론 규제 완화 입장에 서면서도, 주민과 협의를 통한 의무 임대주택 비율 확대 방침을 밝히면서 서민들의 요구도 반영했습니다.

[안철수/바른미래당 서울시장 후보]
"서울시에서 책임지고 그 지역 특성에 맞는 계획을 세우고, 그 지역 주민들의 동의를 얻어서 진행하는 그런 방식입니다."

정의당 김종민 후보는 반값 공공임대주택을 늘리겠다는 공약과 함께 '세입자가 당당한 서울'을 약속했습니다.

주택 소유자와 세입자, 강남과 강북의 이해관계가 각기 다른 가운데, 후보들의 주거 정책에 대한 평가가 지지율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됩니다.

MBC뉴스 서혜연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