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현장] 안봐도 3천 원?…국민청원 간 '문화재 관람료'

  • 6년 전

◀ 앵커 ▶

봄철 등산객이 늘면서 한동안 잠잠하던 문화재 관람료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습니다.

청와대 홈페이지에는 문화재 관람료를 사찰 입구에서 받게 해달라는 국민 청원이 줄을 잇고 있다는데요.

김수산 리포터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 리포트 ▶

맑고 깨끗한 계곡과 수려한 산세로 한 해 평균 2백만 명 이상이 찾는 충남 계룡산.

본격 등산철이 되면서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많은 등산객들이 이곳을 찾습니다.

그런데 산에 오르려 하니 매표소 직원이 가로막는데요.

한 사람당 문화재 관람료 3천 원씩을 내라는 겁니다.

[매표소 직원]
(문화재 안 보고 등산만 하려고 하는데?) "문화재 앞으로 지나가셔야 해요."
(4장 하면 얼마예요?) "4장 하면, 1만 2천 원입니다."

문화재 보호법 상 문화재 소유자가 시설을 공개할 경우 관람료를 받을 수 있게 돼 있지만, 문화재가 있는 사찰과 매표소와의 거리는1.2킬로미터 이상.

등산객들은 하나같이 이 곳 매표소를 지나야만 계룡산의 자랑인 은선폭포나 관음봉 등 주요 등산로로 갈 수 있는데요.

관람료를 내지 않으면 잘 닦인 등산로를 진입도 할 수 없습니다.

문화재를 보지 않겠다고 해도 관람료 징수는 예외 없이 막무가내.

심지어 돈을 내고도 실물 구경조차 하기 힘든 실정입니다.

[사찰 관계자]
"복장(사리와 불경 등을 넣은 것) 유물이라고 하거든요. 삭혀지는 거 때문에 서울에 불경 문화원 박물관에서 보관 중인 거예요."

국보인 탱화를 소장하고 있는 계룡산의 또 다른 사찰 입구.

관람료는 현금만 내게 돼 있고,

[매표소 직원]
"(카드 결제) 단말기 설치가 안 돼 있어."

현금이 모자란다고 하자, 그 자리에서 깎아주겠다고도 말합니다.

[매표소 직원]
(현금이 천 원이 모자라서요.) "그냥 해 드릴게요."

소장 중인 보물을 볼 수 없는 건 이 곳도 마찬가지.

[사찰 관계자]
"괘불 지금은 밖으로 못 나와요."

분통이 터진다는 등산객들이 적지 않습니다.

[노호연/시민]
"잘못됐죠. 절 입구에서 받는 게 맞겠죠. 절도 안 보는데."

[시민]
"입장료 작년부터 3천 원씩 받고, 2천 원에서 3천 원씩 올렸어요."

국립공원 입장료는 폐지 10년이 넘었지만, 국립공원 내 사찰 20여 곳에는 여전히 남아있는 문화재 관람료.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에까지 관람료 논쟁이 번지고 있는데요.

국립공원은 국민 것이니 돈 낼 필요 없다, 문화재 유지 관리 비용이 필요하다는 해묵은 논란에 해결책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투데이 현장이었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