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6일 전


불안정한 영어&국어 성적
수능형 독해력 키워 영어&국어 1등급 만들기!

#티처스 #조정식 #정승제 #윤혜정 #미미미누 #전현무

학생들의 인생을 바꿔줄 단 한번의 기회
[성적을 부탁해 티처스2] 오후 7시 50분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안녕
00:02안녕
00:04그 미묘한 표정은 뭐야?
00:06좋은 거야
00:08좀 이제 좀 각오는 좀 섰어?
00:11이번 여름방학 때 진짜 모의고사 초점 많이 들 것 같아요
00:15그치
00:16수능 최저 꼭 맞출 수 있도록 공부 한번 해보자
00:19내 생각에는 국어가 되면 영어가 해결이 될 것 같아
00:23국어가 되면 영어가 해결이 될 것 같아
00:30최대한 국어랑 영어를 같이 잡아가는 방향으로 관리하고 생각을 하는데
00:34글들 중에 논설문이 많아 설명문이 많아?
00:38설명문
00:39그렇지
00:40왜 그럴 것 같아?
00:41정보가 너무 많이 들어와서 이해하기 어려워요
00:44그렇지
00:45평가원은 정보를 좀 처리하기 힘든 글들
00:49이런 것들 가지고 변별력을 만들어냈어요
00:51국어가 요새 그런 추세야
00:53트렌드도 굉장히 비슷하게 맞아떨어져서 가요
00:56읽을 줄 알면 그냥 정상으로 따라 나와
00:59특히나 과학기술지문에서 이건 굉장히 용이하게 쓰일 수 있어
01:02알겠지?
01:08오늘은 우리가 무엇을 할 거냐면
01:11국어 독서 지문을 읽어보는 연습을 할 거예요
01:14이 지문은 올해 6편 고3들이 봤던 지문인데
01:18첫 단락을 먼저 읽어봐
01:20
01:22정의가 내려지고 있는 소재는 뭐예요?
01:27자유주의적
01:29그렇지
01:30자유주의적 권모델
01:31사회
01:32복지
01:33그럼 질문
01:34두 모델 간의 관계는 뭔가요?
01:38
01:39여기에서 딱 미스가 생기는 거야
01:43그러니까 문제를 풀 때 네가 어렵다고 얘기하는 게 이거야
01:46그 지문에 나오는 용어 간의 관계성
01:49특정한 설명 대상 간의 관계성을 만들어내는 방식은 크게는 세 가지 크게
01:54서로 대비되는 걸 둔다
01:57상호작용이 있는 거
01:59상호관계가 있는 거
02:00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걸 둔다
02:01인과관계에 있는 것을 둔다
02:04크게는 어떤 식으로 나올 수 있냐면
02:06같은 구성요소인데 서로 서로 상호 보완해 주는 관계
02:09규정과 긍정으로 나뉜는 서로 대비되는 관계
02:12둘간의 서로 인과관계가 정립하는 경우가 있어요
02:14얘가 원인이 돼서 결과가 나오고
02:16이게 지문에서 제일 흔하게 나오는 패턴들 중에 하나예요
02:24한 번만 더 해보자
02:26이 셋 중에 어떤 관계가 있는 거 같아?
02:28상호보완?
02:29상호보완적인 관계예요?
02:31자유주의를 보완하는 건 알겠는데
02:34그 반대는 잘 모르고
02:36그러니까 상호보완이 아닌 거죠
02:38자유주의적 모델은 한계가 있죠?
02:42그 한계점을 해결해 주기 위해서 등장한 게
02:45사회국가정모델이죠
02:47대비되는 모델에 가깝죠
02:49구조를 어떻게 잡아야 될지 이제 보여?
02:51
02:52내가 미션을 줄게
02:54역대급으로 어려웠던 지문입니다
02:562018학년도 수능에 나왔던 지문이고
02:58오버슈팅이 지문이다 라고 얘기를 하면
03:01다 알아
03:02들어봤어
03:03들어봤지
03:04엄청 어려웠던 지문이에요
03:05정의 찾는 거
03:06단어 간의 관계 찾는 거
03:08다 합쳐져 있는 지문이에요
03:10이 지문 하나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싶은데
03:16한 시간 걸려도 돼
03:17
03:18관계성을 완벽하게 익히고 난 다음에
03:20
03:21문제풀이 해보는 겁니다
03:22난 그래도 영화강사 아니겠니?
03:24
03:25이것도
03:26관계성을 찾아내는 게 포인트야
03:28알겠지?
03:29
03:30시간 재면서 좀
03:32측정해봐야겠다
03:33시작
03:34시작
03:37공복 상태에서 인정하네
03:43차이는 아닌 것 같은데
03:49상대
03:50사실 좀 정리를 해보면
04:00활용되서
04:02보기자 인식이 형성
04:04오히려 이해가 부족해져서
04:06명확하게 연관계가 나타나고
04:08대도 대비되는 관계이고
04:11이런 관계성을 찾을 수 있구나
04:13사생활의 역설 지문도 관계 정리해봐야겠다
04:19인과관계가 완전 확실히 드러나고
04:22본인 인과관계
04:29대조나
04:31단어가 생긴다
04:32
04:33영어랑 국어 지문은 국어가 진짜 비슷하구나
04:36이렇게 인과관계도
04:38이런 관계가 드러나고
04:39대도 되는 부분이 있어서
04:41그냥 비슷한 부분이 되게 많은 것 같다
04:43
04:44이거 오버슈팅은 좀 어땠어?
04:46아니 어려웠어요
04:48그럼 오버슈팅 같은 경우는
04:50분명히 문제 현상이잖아?
04:51
04:52이런 문제 현상 등장하면
04:53거기에 대해서 내가 원인을 파악하라고 얘기를 했어
04:56맞지?
04:57
04:58오버슈팅의 원인은 뭐예요?
04:59단기와 단기에는 오버슈팅이
05:01발생하는지 안 하는지에 따라
05:03차이가 발생하는데요
05:04단기에서는
05:06오버슈팅이 발생하지 않는데
05:08단기에서는
05:09물가는 경직되어 있는데
05:10환율이 신축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05:12오버슈팅이 발생해요
05:14충분히 독서 처리할 수 있을 것 같거든
05:18그럼 내가 준 영화 지문들은
05:19내용이 어떻게 정리돼요?
05:21먼저 생태계의 상태를 설명을 하는데요
05:24생물 종이 다양해질수록
05:26더 안정적이라는 얘기를 하고 있어요
05:29글이 흘러가는 패턴이 정확하게 똑같죠
05:32문제점 제시부터 글이 시작이 됐고요
05:34설결되는 방식으로 얘기를 한 거잖아요
05:36그렇지?
05:37오버슈팅이라는 문제가 일어나는 당황
05:40그것에 대한 해결책이 어떻게 흘러나
05:42국어가 조금 더 단락이 길어서 정보량이 더 많고
05:45영어는 한 단락밖에 없으니까
05:47정보량이 훨씬 더 적은 질문의 처리
05:49굳이 이렇게 겹쳐서 보여준다고 내가 준 거야
05:52그래서 분질적으로는
05:53국어로 되어 있는 국어용의 글을 잘 읽으면
05:55영어 영역은 잘 할 수밖에 없어요
05:57완전 1등급 쭉 나올 거야
05:59오케이?
06:00네 고생하셨어
06:02오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