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낙상 사고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바로 집!
낙상 사고는 추락 사고만 뜻하는 게 아니다?!
넘어지며 손 짚다가 손목 골절

#아이엠닥터 #오정연 #이한위 #김지선

베테랑 건강 박사들이 들려주는
실화 바탕 특강쇼&특급 솔루션!
[아이엠닥터] 매주 일요일 오전 8시 30분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집 안에 있는 게 오히려 더 위험할 수도 있다는 사실 혹시 아시나요?
00:04아니 지금 집에서 우리가 에어컨 딱 틀어 놓고 선풍기 바람 쐬면서 수박 먹는 그 재미로 내가 지금 살고 있는데 갑자기 집이 가장 위험하더니 이게 무슨 말씀이세요?
00:17아니 우리가 집 밖은 위험해라는 말은 들어봤어도 집안이 위험하다는 소리는 들어본 적이 없는데 집이 가장 안전한 장소여야 되는데 도대체 이유가 뭡니까?
00:29네, 사연 속의 아내처럼 낙상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가 바로 집이기 때문입니다.
00:36언니, 낙상 정말요?
00:38네, 실제로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장소 탑3는요. 3위는 복지 및 노인 요양시설 그리고 2위는 도로나 인도라고 나타났고요.
00:49대망의 1위는 바로 주택인데 무려 74%의 병으로 압도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0:57이야, 어쩐지 제 주변에서 보면 침대에서 살짝 넘어졌는데 고관절이 부러졌다는 분도 있긴 있었어요.
01:05네, 맞습니다. 낙상 사고는 높은 곳에서 이렇게 떨어지는 추락 사고뿐만이 아니라 우리가 이렇게 방바닥에서 그냥 미끄러져서 넘어지거나 바지 입다가 걸려서 넘어지거나 문턱에 걸려서 넘어지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01:22우리가 넘어질 때 아이쿠야 하면서 손을 딱 짚으면서 손목이 부러지는 경우도 많고요.
01:30또 이렇게 윽 하면서 척추 압박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01:37그런데 나이가 많을수록 치명적인 위험이 되는 골절 부위가 있는데요.
01:43바로 고관절입니다.
01:45아, 그래요? 아까 그 실화극장 속 사연자분도 집에서 잘못 넘어지는 바람에 고관절이 골절됐다고 했잖아요.
01:51네, 맞아요.
01:52그런데 궁금한 게요.
01:56사연자분의 경우에 수술도 받으셨는데 왜 2년이나 누워지나야 했던 거예요?
02:02혹시 이게 수술에 차도가 없었던 게 아닐까요?
02:06네, 수술이 잘 끝났다고 하더라도 골절된 부위를 본드로 이렇게 붙이는 게 아니거든요.
02:12뼈가 붙는 것은 사실 골진이 나와서 내 뼈로 붙어줘야 돼요.
02:16그런데 만약에 뼈의 골 밀도가 굉장히 낮거나 뼈의 상태가 안 좋으면 그 골진이 충분히 잘 나오지 않겠죠.
02:24그러면 골진이 나오는데 굉장히 오래 걸릴 수 있고요.
02:286개월 1년 넘게.
02:30그럼요. 그때까지 안 붙으면 제대로 보행하지 못하고 그냥 침대에서 와상 상태로 지내셔야 되는 경우가 굉장히 길어집니다.
02:40실화극장 주인공도 이게 다 남편 때문이었네요.
02:44보니까 아픈 아내를 방치해서 회복을 못 한 거잖아요.
02:48끝까지 남편이 정말 못 됐네.
02:50그러니까.
02:51아니, 침대에서.
02:52연기했지만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02:53그렇죠.
02:54아니, 진짜.
02:55잘했어.
02:57한글만 더 해줘봐.
02:58확실히.
03:00침대에서 아무것도 못하고 숨만 쉬는 그 고통은 정말 이루 말할 수가 없을 거예요.
03:06안 겪어본 사람은 진짜 모를 것 같은데.
03:08그리고 물론 본인이 가장 힘들죠.
03:11하지만 가족들이 제일 힘든 상태가 그 와상 환자의 가족들이라고 그러죠.
03:16진짜 힘든 거네요.
03:18최 씨처럼 남편의 방치로 수술에 회복이 잘 되지 않아서
03:23침대에 그냥 누워서 지내는 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다양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요.
03:29사연자처럼 욕창은 기본이고요.
03:33근육이 다 빠지니까 근감소증 오죠.
03:36심폐 기능이 저하되니까 숨도 제대로 못 쉬니까 또 폐렴이 생기고.
03:41혈전증, 심근경색 같은 것을 야기해줄 수 있습니다.
03:46그래서 심지어는 사망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하는데요.
03:52고관절 골절 환자의 15%에서 20% 정도가 1년 내에 사망에 이르기도 하고요.
03:59아이고 심각하네.
04:01고관절 골절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2년 내에 사망하는 확률이 무려 70%나 높아집니다.
04:09아니 골절로 사망까지 이르르라고 누가 예상을 했을까요?
04:15그러니까요.
04:162년 내 사망률이 70%를 높다.
04:1870%요.
04:19무시무시한데요.
04:20그럼 낙상이나 골절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04:27문제는 내 안에 있는 거죠.
04:30내 안에.
04:31내 몸이 내 뼈가 약한 게 원인이잖아요.
04:35우리가 이렇게 걷다가도 발목을 삐끗했는데 복숭아 뼈가 부러지기도 하고요.
04:40살짝 엉덩방아 찌었는데 고관절 골절이 나기도 하고.
04:44또 심지어는 기침을 하거나 해치 이렇게 재채기를 하다가도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04:51저는 2년 연속 그랬잖아요.
04:53예?
04:54기침하다가요?
04:55네.
04:57정말 심하게 기침을 해가지고.
04:59기침을 해!
05:01어디 떨어지면서 기침을 했어요?
05:03저도 믿기 힘들었는데 병원에서 종종 일어나는 일이라 하더라고요.
05:09아, 그러셨군요.
05:10진짜로 골다공증이 심한 분들은요.
05:12그래서 기침하실 때도 이렇게 손으로 딱 잡고 버티면서 하셔야 돼요.
05:16그래요?
05:17네.
05:18골다공증으로 인해서 뼈가 약해지면 작은 일상생활 속에 사소한 행동들이.
05:24뼈에는 큰 충격을 가해서 골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05:28그래요?
05:30충격이 이만저만 아닌데요.
05:32요새 이제 비도 많이 오고 장마철이니까 얼마나 미끄러워요.
05:36그렇죠.
05:37위험하죠.
05:38조금만 잘못 이렇게 미끄덩해도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하니까.
05:41근데 이제 골다공증이 생각보다 위험한 질병이었네요.
05:44연쇄적으로 정말 무서운 일이 생길 수가 있네요.
05:47네.
05:48아니 우리나라에 골다공증 환자가 많은가요?
05:50굉장히 많습니다.
05:53대한골대사학회에 따르면 50세 이상 여성 중에 무려 86.2%가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06:04저는 골감소증인 거 알고 있습니다.
06:07확정이십니다.
06:08네 확정입니다.
06:09그렇게나 거의.
06:10그 얘기는 50세 이상 여성 중에 뼈가 건강하다고 할 수 있는 사람은 불과 13.8%밖에 되지 않는다는 얘기예요.
06:18너무 많은데.
06:20아니 그러면 오래 살다 보면 누구나 생길 수 있는 아주 흔한 질병이라는 거네요.
06:26들어보니까.
06:27아니 선생님 그러면 저도 골다공증일 수 있다라는 거잖아요.
06:31근데 왜 이게 기준이 다 여성이에요?
06:35그렇지.
06:36남성은 골다공증 안 걸려요?
06:38어?
06:39억울하시죠?
06:40네.
06:41굉장히 예리한 질문을 하셨는데요.
06:42골다공증은 특히 여성분들에게 매우 취약한 질환입니다.
06:46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 데이터를 보시면요.
06:51골다공증 진료 인원의 무려 94%가 여성이고요.
06:56나머지 6%만 남성으로 나타났습니다.
07:00그래서 특히 여성분들의 경우는요.
07:03우리 어머니나 외할머니가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로 이렇게 등이 굽으셨거나
07:09또는 고관절 골절 같은 것을 경험하신 적이 있다라고 하면
07:13나 역시도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것을 꼭 아셔야 됩니다.
07:17네.
07:18아.
07:19여자들이 무슨 죄를 졌다고.
07:22정말?
07:23골다공증에 이렇게 취약한 이유가 대체 우리 왜 그런 거예요?
07:28네.
07:29바로 이 호르몬의 영향, 완경 때문입니다.
07:32아.
07:33어쩔 수 없는군요.
07:34네.
07:35남성은 나이가 들면서 남성 호르몬이 서서히 감소하는 데 비해서
07:40여성은 완경기 때 아주 급격하게 에스트로겐이 감소하게 됩니다.
07:45네.
07:46그런데 이 에스트로겐은 사실 뼈 건강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거든요.
07:53뼈를 파괴시키는 파골세포를 억제시키고요.
07:57새로운 뼈를 만들어내는 조골세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해요.
08:02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에스트로겐이 완경기 때 갑자기 급감을 하게 되니까
08:07억제되어 있던 파골세포가 그때부터 막 활개를 치면서 다니면서 막 파먹고 다니는 거예요.
08:14오.
08:15그러니까 구멍이 막 생기는데 반면 이 조골세포는 기능이 떨어져서 충분히 만들어내질 못합니다.
08:21아.
08:22그래서 골다공증으로 이어지는 겁니다.
08:24아.
08:25그래서 완경 이후에는 꼭 검사를 해보셔야 돼요.
08:30오.
08:31오.
08:32오.
08:33오.
08:34오.
08:35오.
08:37오.
08:38오.
08:39오.
08:40오.
08:41오.
08:42오.
08:43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