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아는기자]‘사제 총기 사건’ 초동조치 전격 조사
채널A News
팔로우
그저께
[앵커]
아는기자, 사회부 배두헌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Q1. 경찰이 인천 사제 총기 사건의 초동조치와 관련해 진상조사에 착수했는데 이유가 뭡니까?
사건 발생 당시 경찰 출동 후 현장 진입까지 시간이 지연됐다는 논란 때문입니다.
최초 신고 후 경찰과 특공대가 도착은 했는데, 집으로 진입한 건 최초 신고 후 70분 가량이 지나서였죠.
경찰 대응에 문제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언론을 통해 나오자, 경찰청 차원에서 당시 판단에 문제가 없었는지 진상 조사에 착수한 겁니다.
Q2. 신고 후 70분. 도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린 겁니까?
네. 시간대를 보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며느리가 다급하게 "남편이 총에 맞았다" "살려달라"는 신고를 한 건 오후 9시31분입니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한 건 10분만인 9시41분.
경찰특공대는 10시 16분에 현장에 도착했고요.
집 현관문을 열고 진입한 건 오후 10시43분이었습니다.
총격 사건이라 작전 준비에 시간이 걸렸단 건데, 범인은 이미 1시간 전인 9시41분쯤 현장을 뜬 후였습니다.
Q2-1. 범인이 현장을 1시간 전에 떠났는데 그것도 파악을 못한 이유는 뭡니까?
경찰은 일단 신고자인 며느리가 "시아버지가 아직 집 안에 있는 것 같다"는 취지로 설명해서 그렇게 믿었다고 합니다.
인상착의 파악이 안 돼서 주민들과 섞여 나오는 남성을 알아볼 수도 없었다 하고요.
CCTV를 확인한 것도 신고 후 70분이 지나서였습니다.
Q3. 얼마나 공포스러웠을까 싶은데. 경찰에게 빨리 와달라는 요청이 쏟아졌었죠?
네, 며느리는 3차례의 112신고에서 "남편이 총에 맞았으니 빨리 와달라" 여기 애들도 있다, 방 안에 숨어서 문 닫고 있고, 남편은 밖에 있는데, 출혈이 있으니 구급차도 같이 와달라, 남편 좀 살려달라, 죽을 것 같다며 다급하고 절박한 '빨리'를 수차례 외쳤습니다.
Q4. 최고 긴급 상황인데 현장에 경찰 지휘관이 늦게 도착했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경찰 매뉴얼상 최고단계 위급상황 지령인 '코드제로'가 발령됐는데요.
현장에는 강력팀장, 지구대 팀장, 경찰특공대장 등이 있었지만 경찰 지휘관 역할을 맡는 상황관리관은 경찰 특공대 진입 후에야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매뉴얼상 총기 사건은 반드시 수사·형사과장 이상 책임자가 현장 지휘를 하도록 돼있습니다.
해당 경정은 "사무실에서 챙기고 가려 했는데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Q5. 며느리에게 시아버지를 설득해볼 수 있냐고 물어보기도 했다고요?
네. 이 상황관리관은 며느리와 통화를 하고 있던 현장경찰에게 "남편을 먼저 밖으로 내보내 달라고 시아버지에게 대화를 시도하도록 타진해보라"고 지시했는데요.
공포에 떨던 며느리는 할 수 없었죠.
이 같은 대응이 적절했는지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Q6. 범인이 도주한 걸 빠르게 확인했든지, 지휘관이 현장에 빠르게 왔다면 결과가 달라졌을까요?
총격 사건 매뉴얼상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작전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는 건 당연합니다.
다만 공포에 빠진 며느리의 '아직 집에 있는 것 같다'는 말만 듣고 CCTV를 바로 확인하지 않은 점과 지휘관이 매뉴얼대로 대응하지 않은 점이 아쉬움이 남는 건 사실입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배두헌 기자 badhoney@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아는 기자, 사회부 배두헌 기자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8
배 기자, 경찰이 인천 사재 총기 사건의 초동 조치와 관련해서 진상조사에 착수했는데 그 이유가 뭡니까?
00:15
사건 발생 당시 경찰 출동 후 현장 진입까지 시간이 지연됐다는 논란 때문입니다.
00:21
최초 신고 후 경찰과 특공대가 도착은 했는데 집으로 진입한 건 최초 신고 후 70분가량이 지나서였죠.
00:29
경찰 대응에 문제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언론을 통해서 나오자 경찰청 차원에서 당시 판단에 문제가 없었는지 진상조사에 착수한 겁니다.
00:39
최초 신고 후 70분가량이나 지나서 진입을 했다. 도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린 겁니까?
00:44
시간대를 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00:47
며느리가 다급하게 남편이 총에 맞았다, 살려달라 이런 신고를 한 건 오후 9시 31분입니다.
00:55
경찰이 현장에 도착한 건 10분 만인 9시 41분, 경찰특공대는 10시 16분에 현장에 도착했고요.
01:03
집 현관문을 열고 진입한 건 오후 10시 43분이었습니다.
01:08
총격 사건이라 작전 준비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는 건데 범인은 이미 1시간 전인 9시 41분쯤 현장을 뜬 후였습니다.
01:18
범인이 현장을 1시간 전에 떠났는데 그것도 파악을 못한 그 이유는 뭡니까?
01:23
네, 경찰은 일단 신고자인 며느리가 시아버지가 아직 집안에 있는 것 같다, 이런 취지로 설명해서 그렇게 믿었다고 합니다.
01:32
인상착이 파악이 안 되다 보니까 주민들과 섞여 나오는 남성을 알아볼 수도 없었다고 하고요.
01:38
CCTV를 확인한 거 신고 후 70분이 지나서였습니다.
01:42
얼마나 공포스러웠을까 싶은데 경찰에게 빨리 와달라 이런 요청을 계속했다면서요.
01:47
네, 그렇습니다. 며느리는 세 차례 112 신고에서 남편이 총에 맞았으니 빨리 와달라.
01:55
여기 애들도 있다. 방 안에 숨어서 문을 닫고 있고 남편은 밖에 있는데 출혈이 있으니 구급차도 같이 와달라.
02:04
남편 좀 살려달라. 죽을 것 같다며 이 다급하고 절박한 빨리를 수차례 외쳤습니다.
02:11
최고 긴급 상황인데 현장에 경찰 지휘관이 늦게 도착했다면서요.
02:16
네, 그렇습니다. 경찰 매뉴얼상 최고 단계 위급 상황 지령인 코드 제로가 발령됐는데요.
02:23
현장에는 강력팀장, 지구대팀장, 경찰특공대장 등이 있었지만 경찰 지휘관 역할을 맡는 상황관리관은 경찰특공대 진입 후에야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02:35
매뉴얼상 총기 사건은 반드시 수사 형사과장 이상 책임자가 현장 지휘를 하도록 돼 있습니다.
02:42
해당 경정은 사무실에서 챙기고 가려고 했는데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02:49
며느리에게 시아버지를 좀 설득해볼 수 있냐고 경찰이 물어보기도 했다면서요.
02:54
네, 그렇습니다. 이 상황관리관 며느리와 통화를 하고 있던 현장 경찰에게 남편을 먼저 밖으로 내보내달라고 시아버지에게 대화를 시도하도록 타진해보라고 지시를 했는데요.
03:06
공포에 떨던 며느리는 그렇게 할 수 없었죠. 이 같은 대응이 적절했는지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03:14
범인이 도주한 걸 빠르게 확인을 했던지 아니면 지휘관이 현장에 빠르게 왔다면 혹시 결과가 좀 달라졌을까요?
03:21
네, 총격 사건 매뉴얼상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작전을 준비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건 당연합니다.
03:29
다만 공포에 빠진 며느리의 아직 집에 있는 것 같다 이 말만 듣고 CCTV를 바로 확인하지 않은 점과 또 지휘관이 매뉴얼대로 대응하지 않은 점에 아쉬움이 남는 건 사실입니다.
03:43
네,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03:51
네, 잘 들었습니다.
추천
2:03
|
다음 순서
[단독]경찰특공대 진입 늦어진 이유 보니…“현장 지휘관 안 정했다”
채널A News
어제
2:20
“30명 찌른다” 예고에 무장 특공대 투입…이 시각 야탑역
채널A News
2024. 9. 23.
2:01
‘2시간 정차 시 보고’에 삭발한 경찰들
채널A News
2024. 10. 21.
1:40
인천 총기 사건 초동 대처 논란...경찰 "진상 조사 착수" / YTN
YTN news
그저께
1:46
신고 70분 뒤 현장 진입..."인천 총격 사건, 진상 조사" / YTN
YTN news
그저께
2:02
“경찰 빨리 와 달라” 반복…‘아들 총기 살해 사건’ 긴박했던 신고
채널A News
3일 전
7:43
만취 운전자 실탄 동원해 체포 / 맹견 2마리가 셰퍼드 공격...경찰 수사 [앵커리포트] / YTN
YTN news
2023. 9. 20.
14:08
[뉴스UP] 김용현 구속·경찰청장 체포...대통령 향하는 칼날 / YTN
YTN news
2024. 12. 11.
0:46
국힘 이어 권성동 사무실에도 "폭발물 설치"…용의자 추적중
중앙일보
2025. 1. 2.
5:15
[아는기자]2차 집행 앞두고 경호처 지휘부 균열?
채널A News
2025. 1. 11.
3:24
2차 체포영장 집행 초읽기...경찰·공수처·경호처 3자 회동 / YTN
YTN news
2025. 1. 14.
4:09
“오늘 야탑역서 흉기 난동”…경찰, 장갑차 등 배치
채널A 뉴스TOP10
2024. 9. 23.
2:02
[단독]“흉기 위협” 신고받고도 ‘뒷짐’ 출동…여성 숨진 채 발견
채널A News
2021. 2. 20.
2:40
19명 사상 부천 호텔 화재...경찰 수사 본격화 / YTN
YTN news
2024. 8. 24.
1:42
집단 난투극, 칼부림…경찰, 실전 방불케하는 '블라인드 훈련'
중앙일보
2024. 10. 19.
17:16
경찰 "윤 대통령 출석 요구 검토"...조지호 등 구속 갈림길 / YTN
YTN news
2024. 12. 13.
3:26
경찰, 경호처 압수수색 재시도...김성훈 비화폰 확보 / YTN
YTN news
2025. 2. 3.
0:36
'음주폭행 경찰관' 지휘책임…서울청 기동대장 대기발령
연합뉴스TV
2024. 3. 18.
2:01
[단독]20km 추격해 음주車 검거 도운 시민
채널A News
2024. 3. 7.
22:43
[현장영상+] 우종수 "조지호, 계엄문건 파기 확인...조사 예정" / YTN
YTN news
2024. 12. 23.
2:57
'19명 사상' 부천 호텔 화재...희생자 조롱 글 내사 / YTN
YTN news
2024. 8. 25.
4:26
[아는기자]대통령실 압수수색, 소득 없이 끝나나?
채널A News
2024. 12. 11.
2:28
'흉기 난동' 예고에 장갑차까지..."못 잡아 불안" / YTN
YTN news
2024. 9. 23.
6:43
[Y-STAR]Park Sihoo made an appearance to police(성폭행 혐의 박시후, 경찰 출두 현장)
iHQ
2016. 3. 10.
5:55
'영장 집행 일임' 비판 자초한 공수처...이후 절차는? / YTN
YTN news
2025.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