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아는기자, 사회부 배두헌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Q1. 경찰이 인천 사제 총기 사건의 초동조치와 관련해 진상조사에 착수했는데 이유가 뭡니까?

사건 발생 당시 경찰 출동 후 현장 진입까지 시간이 지연됐다는 논란 때문입니다.

최초 신고 후 경찰과 특공대가 도착은 했는데, 집으로 진입한 건 최초 신고 후 70분 가량이 지나서였죠.

경찰 대응에 문제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언론을 통해 나오자, 경찰청 차원에서 당시 판단에 문제가 없었는지 진상 조사에 착수한 겁니다.

Q2. 신고 후 70분. 도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린 겁니까?

네. 시간대를 보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며느리가 다급하게 "남편이 총에 맞았다" "살려달라"는 신고를 한 건 오후 9시31분입니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한 건 10분만인 9시41분.

경찰특공대는 10시 16분에 현장에 도착했고요.

집 현관문을 열고 진입한 건 오후 10시43분이었습니다.

총격 사건이라 작전 준비에 시간이 걸렸단 건데, 범인은 이미 1시간 전인 9시41분쯤 현장을 뜬 후였습니다.

Q2-1. 범인이 현장을 1시간 전에 떠났는데 그것도 파악을 못한 이유는 뭡니까?

경찰은 일단 신고자인 며느리가 "시아버지가 아직 집 안에 있는 것 같다"는 취지로 설명해서 그렇게 믿었다고 합니다.

인상착의 파악이 안 돼서 주민들과 섞여 나오는 남성을 알아볼 수도 없었다 하고요.

CCTV를 확인한 것도 신고 후 70분이 지나서였습니다.

Q3. 얼마나 공포스러웠을까 싶은데. 경찰에게 빨리 와달라는 요청이 쏟아졌었죠?

네, 며느리는 3차례의 112신고에서 "남편이 총에 맞았으니 빨리 와달라" 여기 애들도 있다, 방 안에 숨어서 문 닫고 있고, 남편은 밖에 있는데, 출혈이 있으니 구급차도 같이 와달라, 남편 좀 살려달라, 죽을 것 같다며 다급하고 절박한 '빨리'를 수차례 외쳤습니다.

Q4. 최고 긴급 상황인데 현장에 경찰 지휘관이 늦게 도착했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경찰 매뉴얼상 최고단계 위급상황 지령인 '코드제로'가 발령됐는데요.

현장에는 강력팀장, 지구대 팀장, 경찰특공대장 등이 있었지만 경찰 지휘관 역할을 맡는 상황관리관은 경찰 특공대 진입 후에야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매뉴얼상 총기 사건은 반드시 수사·형사과장 이상 책임자가 현장 지휘를 하도록 돼있습니다.

해당 경정은 "사무실에서 챙기고 가려 했는데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Q5. 며느리에게 시아버지를 설득해볼 수 있냐고 물어보기도 했다고요?

네. 이 상황관리관은 며느리와 통화를 하고 있던 현장경찰에게 "남편을 먼저 밖으로 내보내 달라고 시아버지에게 대화를 시도하도록 타진해보라"고 지시했는데요.

공포에 떨던 며느리는 할 수 없었죠.

이 같은 대응이 적절했는지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Q6. 범인이 도주한 걸 빠르게 확인했든지, 지휘관이 현장에 빠르게 왔다면 결과가 달라졌을까요?

총격 사건 매뉴얼상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작전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는 건 당연합니다.

다만 공포에 빠진 며느리의 '아직 집에 있는 것 같다'는 말만 듣고 CCTV를 바로 확인하지 않은 점과 지휘관이 매뉴얼대로 대응하지 않은 점이 아쉬움이 남는 건 사실입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배두헌 기자 badhoney@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사회부 배두헌 기자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8배 기자, 경찰이 인천 사재 총기 사건의 초동 조치와 관련해서 진상조사에 착수했는데 그 이유가 뭡니까?
00:15사건 발생 당시 경찰 출동 후 현장 진입까지 시간이 지연됐다는 논란 때문입니다.
00:21최초 신고 후 경찰과 특공대가 도착은 했는데 집으로 진입한 건 최초 신고 후 70분가량이 지나서였죠.
00:29경찰 대응에 문제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언론을 통해서 나오자 경찰청 차원에서 당시 판단에 문제가 없었는지 진상조사에 착수한 겁니다.
00:39최초 신고 후 70분가량이나 지나서 진입을 했다. 도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린 겁니까?
00:44시간대를 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00:47며느리가 다급하게 남편이 총에 맞았다, 살려달라 이런 신고를 한 건 오후 9시 31분입니다.
00:55경찰이 현장에 도착한 건 10분 만인 9시 41분, 경찰특공대는 10시 16분에 현장에 도착했고요.
01:03집 현관문을 열고 진입한 건 오후 10시 43분이었습니다.
01:08총격 사건이라 작전 준비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는 건데 범인은 이미 1시간 전인 9시 41분쯤 현장을 뜬 후였습니다.
01:18범인이 현장을 1시간 전에 떠났는데 그것도 파악을 못한 그 이유는 뭡니까?
01:23네, 경찰은 일단 신고자인 며느리가 시아버지가 아직 집안에 있는 것 같다, 이런 취지로 설명해서 그렇게 믿었다고 합니다.
01:32인상착이 파악이 안 되다 보니까 주민들과 섞여 나오는 남성을 알아볼 수도 없었다고 하고요.
01:38CCTV를 확인한 거 신고 후 70분이 지나서였습니다.
01:42얼마나 공포스러웠을까 싶은데 경찰에게 빨리 와달라 이런 요청을 계속했다면서요.
01:47네, 그렇습니다. 며느리는 세 차례 112 신고에서 남편이 총에 맞았으니 빨리 와달라.
01:55여기 애들도 있다. 방 안에 숨어서 문을 닫고 있고 남편은 밖에 있는데 출혈이 있으니 구급차도 같이 와달라.
02:04남편 좀 살려달라. 죽을 것 같다며 이 다급하고 절박한 빨리를 수차례 외쳤습니다.
02:11최고 긴급 상황인데 현장에 경찰 지휘관이 늦게 도착했다면서요.
02:16네, 그렇습니다. 경찰 매뉴얼상 최고 단계 위급 상황 지령인 코드 제로가 발령됐는데요.
02:23현장에는 강력팀장, 지구대팀장, 경찰특공대장 등이 있었지만 경찰 지휘관 역할을 맡는 상황관리관은 경찰특공대 진입 후에야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02:35매뉴얼상 총기 사건은 반드시 수사 형사과장 이상 책임자가 현장 지휘를 하도록 돼 있습니다.
02:42해당 경정은 사무실에서 챙기고 가려고 했는데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02:49며느리에게 시아버지를 좀 설득해볼 수 있냐고 경찰이 물어보기도 했다면서요.
02:54네, 그렇습니다. 이 상황관리관 며느리와 통화를 하고 있던 현장 경찰에게 남편을 먼저 밖으로 내보내달라고 시아버지에게 대화를 시도하도록 타진해보라고 지시를 했는데요.
03:06공포에 떨던 며느리는 그렇게 할 수 없었죠. 이 같은 대응이 적절했는지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03:14범인이 도주한 걸 빠르게 확인을 했던지 아니면 지휘관이 현장에 빠르게 왔다면 혹시 결과가 좀 달라졌을까요?
03:21네, 총격 사건 매뉴얼상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작전을 준비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건 당연합니다.
03:29다만 공포에 빠진 며느리의 아직 집에 있는 것 같다 이 말만 듣고 CCTV를 바로 확인하지 않은 점과 또 지휘관이 매뉴얼대로 대응하지 않은 점에 아쉬움이 남는 건 사실입니다.
03:43네,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03:51네, 잘 들었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