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와 더 풀어보겠습니다.

Q. 권영세, 이양수 의원에 대해 '당원권 3년 정지' 결정이 나왔어요.예상보다 꽤 센 결정이죠?

최종까지 확정된다면 매우 센 조치입니다.

당원권 정지 징계 기간이 1개월부터 3년까지거든요.

제명과 탈당 권유 다음으로 최고 수준의 징계, 요구한 셈입니다.

당원권이 정지되면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박탈됩니다. 

사실상 다음 총선에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출마 못 하는 거죠.

전당대표 투표도 못합니다.

지난 대선 패배 이후 사실상 처음 실질적인 '인적 쇄신안'이 나온 거죠.

Q. 두 의원, 뭘 잘못했다는 거예요?

김문수 전 장관에서 한덕수 전 총리로, 대선 후보 기습 교체 시도가 있었던 5월로 돌아가보겠습니다.

5월 9일 밤 10시 국민의힘 의총에서 '후보 교체' 결정 권한을 비대위에 일임했죠.

다음날 새벽 1시 비대위와 선관위가 동시 소집돼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했고요. 

새벽 2시 반 당 선관위가 공고를 올려 한덕수 전 총리만 새벽 3시쯤 후보 등록 신청을 했죠.

비대위가 한 전 총리를 대선후보로 의결한 겁니다. 

당시 비대위원장이 권영세, 당 선관위원장이 이양수 의원이죠.

당무감사위는 이같은 교체 시도를 당헌 당규상 근거 없는 불법 행위라고 본 겁니다. 

Q. '쌍권' 중 권성동 전 원내대표는 징계 대상에서 빠졌는데 이유가 뭔가요.

당무감사위원장의 설명은 이렇습니다. 

"권성동 의원이 당 선관위원장이나 비대위원장만큼 책임질 만한 일은 없다"는 건데요.

"당이 어려운데 광범위한 징계가 바람직하냐"는 논의도 있었다고 합니다.

Q. 친윤 쇄신,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가요?

윤희숙 혁신위원장, 최근 인적 쇄신안 내놨지만, 사실상 불발됐잖아요. 

이번엔 당무감사위가 두 의원에게 책임을 물은 건데, 이게 당내 역학 관계도 봐야 합니다.

당무위가 '당원권 3년 정지'를 결정했다고 최종 확정되는 건 아닙니다. 

Q. 역학 관계라는 게 뭔가요?

후보 강제 교체에 대한 당무감사, 누구 지시로 시작된 걸까요. 

'잘못된 과거와의 단절'을 요구해온 '쇄신파'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의 요구로 시작됐습니다.

두 의원 징계를 권고한 당무위원장 등 7명의 당무위원은 한동훈 전 대표가 임명했고요. 

이들이 징계, 만장일치로 결정했습니다.

당무 감사를 의뢰하고 실시한 쪽은 쇄신파와 가까운 거죠.

Q. 두 의원의 징계 여부를 최종 결정할 기구는 또 다르다는 거예요?

최종 징계 여부를 심사할 당 윤리위원장은 권영세 비대위원장 시절 임명한 여상원 변호사입니다.

권 전 위원장과 서울대 법대 77학번 동기라고 하죠. 

여 변호사는 "윤리위가 최종 징계 수위 결정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당내에선 당무위 징계안이 뒤집힐 가능성 높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당 윤리위는 당 대선후보를 비난했다며 최근 '친한계'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절차에 돌입하기도 했습니다.

Q. 징계 의결을 두고 반응도 엇갈리네요.

과거와의 단절을 요구하는 쇄신파에선 "대선 패배 원인이 규명됐다"며 반겼지만, '당 단합'을 앞세운 구주류는 반발하며 당이 반쪽으로 갈라졌거든요.

지금 국민의힘의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이남희 기자 iru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정치부 이남희 선임 기자 나와 있는데요. 상당히 센 결정 아닙니까? 당원권 3년 정지라면요?
00:07저도 사실 깜짝 놀랐거든요. 최종까지 만약에 확정된다면 매우 센 조치입니다.
00:13당원권 정지 징계 기간이 당원 단계상 1개월 부터 3년까지인데요.
00:17그러니까 재명과 탈당 권유 다음으로 아주 최고 수준의 징계를 요구한 셈입니다.
00:24당원권 정지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박탈됩니다.
00:29그러니까 다음 총선에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출마 못하는 거죠.
00:34전당대회 투표도 못합니다. 지난 대선 패배 이후에 사실상 처음으로 실질적인 인적 쇄신안이 나온 거죠.
00:43뭘 잘못했다는 겁니까? 정확하게?
00:45일단 김문수 전 장관에서 한덕수 전 총리로의 대선 후보 기습교체를 주도한 게 불법이다. 이겁니다.
00:53당시 상황으로 한번 돌아가 볼게요.
00:555월 9일 밤 10시에 국민의힘 의총회에서 먼저 후보 교체 결정 권한을 비대위에 이림합니다.
01:02그리고 다음 날 10일 새벽 1시에요. 비대위와 선관위가 동시 소집돼서 김문수 후보 선출을 취소합니다.
01:10이어서 새벽 2시 반에 선관위가 공고를 올려서 한덕수 전 총리만 새벽 3시쯤에 후보 등록 신청을 합니다.
01:17그 다음에 비대위가 한 전 총리를 대선 후보로 의결하게 되는 건데요.
01:22당시 비대위원장이 권영세, 당 선관위원장이 이양수 의원이었죠.
01:28당무감사위는 이런 교체 시도가 당원당규상 근거가 없다고 본 겁니다.
01:34쌍권이라고 보통 하잖아요. 권성동 원내대표는 또 징계 대상이 아니던데 왜인가요?
01:38기자들이 당연히 물어봤습니다. 당무감사위원장 설명은 이렇습니다.
01:43권성동 의원은 당 선관위원장이나 비대위원장만큼 책임질만한 일은 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01:50그리고 당이 이렇게 어려운데 광범위한 징계가 바람직하냐 이런 논의도 있었다고 하네요.
01:55오늘 결정을 어떻게 봐야 되는 거예요? 뭔가 이제 쇄신, 특히 친윤들을 대상으로 한 쇄신이 뭔가 바람이 부는 겁니까?
02:02아직 좀 봐야 될 것 같아요.
02:03왜냐하면 윤희숙 위원장도 인적 쇄신한 최근에 내놨지만 사실상 불발이 됐잖아요.
02:09이번엔 당무감사위가 두 의원한테 책임을 물은 건데 이게 당내 역학관계도 봐야 됩니다.
02:16당무위가 당원권 3년 정지를 결정했다고 최종 확정되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02:22역학관계를 봐야 한다는 게 무슨 말일까요? 조금 더 자세히 볼까요?
02:25한번 보겠습니다. 이 후보 강제 교체에 대해서 당무감사합시다라고 누가 지시했을까요?
02:31바로 잘못된 과거와의 단절을 요구해온 쇄신파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의 요구로 시작됐습니다.
02:39그렇다면 이번에 두 의원 징계를 권고한 당무위원장, 7명의 당무위원이 있는데 이들은 바로 한동훈 전 대표가 임명을 했습니다.
02:49특히 이 당무위원들이 징계 만장일치로 결정을 했거든요.
02:53당무감사를 의뢰하고 실시한 쪽은 또 쇄신파와 가까운 겁니다.
02:57그런데 최종 결정하는 건 또 다른 기구가 한다면서요?
03:02그러니까요. 최종 징계 여부는 바로 당 윤리위원장인데
03:06당 윤리위원장은 권영세 비대위원장 시절 임명한 여상원 변호사입니다.
03:12권위원장과 서울대법대 7, 7학번 동기라고도 하는데요.
03:16여 변호사 이렇게 물었더니 윤리가 최종 징계 수위 결정할 것이다 라면서 말을 아꼈습니다.
03:21당내에서는요. 당무위 징계한 주지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03:28최근에 윤리위가요. 당 대선 후보 비판했다면서 최근 친한 게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절차에 돌입하기도 했었거든요.
03:36흔히 말하는 쇄신파와 또 친윤 진영이 이제 뭔가 같이 맞붙는데 반응도 딱 그래요.
03:42지금 반응도 딱 엇갈립니다.
03:44먼저 과거와의 단절을 요구하는 쇄신파.
03:47대선 패배 원인이 규명됐다 반기고 있습니다.
03:51하지만 당 단합을 앞세운 구주류 반발하면서 지금 당이 또 반쪽으로 갈라진 상황인데요.
03:57지금 국민의힘의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04:02이남희 선임 기자였습니다.
04:17이남희 선임 기자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