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백상아리의 이빨은 평균 300개, 빠져도 무한 생성되는 상어의 이빨?!
채널A Entertainment
팔로우
그저께
인간의 영구치는 평생 32개,
반면 백상아리의 이빨은 평균 300개
상어 이빨이 무한 생성되는 이유는?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인간은 연구치가 32개밖에 안 돼요.
00:02
32개의 연구치로 평생을 써야 되잖아요.
00:05
그런데 백상아리는 평균 300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습니다.
00:09
그런데 계속 새로운 이빨이 나요.
00:12
어우 무서워.
00:13
뭐야 저거.
00:13
저렇게 빠지는구나.
00:15
백상아리 이빨이 교체되는 모습을 그래프로 구현한 거거든요.
00:19
저렇게 저렇게.
00:20
나네.
00:21
밀려나네요 약간.
00:23
이렇게 돌려서 이렇게 채워지는 것처럼.
00:25
볼링핀. 볼링핀 참던네.
00:27
말씀하신 대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처럼
00:30
뒤에서 앞으로 계속 밀려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되는 거예요.
00:35
이빨이 계속 이렇게 새롭게 나는 건 백상아리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상어가 갖는 특징입니다.
00:41
종류나 산업환경 먹이 습관에 따라서 이빨 개수의 차이는 있지만
00:45
대부분 적게는 5줄에서 많게는 15줄까지
00:49
이빨이 계속 나면서 마버되거나 빠진 이빨이 교체돼요.
00:54
저 치아가 오복 중에 하나인데
00:55
어떻게 이렇게 죽을 때까지 무한 생성이 되는 거예요?
00:59
상어는 치아판이라고 하는 특별한 세포층이 있어요.
01:03
태아 때부터 입안 깊숙이 이 치아판을 가지고 있어서
01:07
치아판이 평생 작동합니다.
01:09
그러니까 새 이빨을 계속 만들어내는 거예요.
01:12
상어의 태아 이빨 사진을 한번 보여드릴게요.
01:15
네.
01:15
우와.
01:16
이건 두툽 상어라고 하는 종의 태아가 입을 벌린 모습으로
01:23
엑스레이 사진을 찍은 거예요.
01:25
테두리를 가득 채우고 있는 게 모두 이빨입니다.
01:29
엄청나죠?
01:30
어쨌든 안쪽에는 예비된 이빨들이 준비돼 있습니다.
01:33
대박이네. 진짜.
01:35
그래서 바다 속에 보면 상어의 이빨 화석이 정말로 많아요.
01:39
소쿠리로 팝니다.
01:40
파는 곳에서요.
01:41
소쿠리로 팝니다.
01:42
네. 워낙에 많다 보니까요.
01:43
아니 어떤 외국의 서퍼 같은 분들 보면 해변에서 주워가지고
01:47
상어 이빨로 이렇게 목걸이 해가지고 다니시더라고요.
01:50
너무 많으니까.
01:51
너무 많기 때문이죠.
01:52
그런데 사실 상어의 이빨은요. 생각보다 아주 잘 빠져요.
01:56
사람은 어떻게 해요.
01:58
이빨이 턱에 딱 박혀 있잖아요. 안정적으로.
02:01
그런데 상어가 연골 오류잖아요.
02:03
사람 같은 단단한 견골이 없단 말이에요. 딱딱한 뼈가 없어요.
02:07
연골 위에 살짝 얹혀져 있습니다.
02:10
그런데 이 엄청난 약점이 있는 거죠.
02:12
이 약점을 보완하는 게 바로 모양인데요.
02:15
그러니까 두 사진을 비교해보면 모양이 완전히 다르잖아요.
02:19
왼쪽은 백상아리 이빨인데 뾰족하고 큰 삼각형 모양입니다.
02:24
백상아리는 물개나 바다 표본 같은 해양 토요리를 주로 사냥해요.
02:29
백상아리의 타겟이죠.
02:32
와...
02:33
들어가다.
02:35
와...
02:36
진짜 꽝...
02:38
꽝 눈여 끝났어요.
02:41
먹잇감이 크고 두툼하다 보니까 한 몸에 왕창 확 잘라낼 수 있어야 합니다.
02:47
그래서 이빨도 절단력이 좋은 형태로 진화했죠.
02:51
가까이서 오면요.
02:52
이빨 가장자리가 톱니처럼.
02:54
스테이크 칼처럼요.
02:56
톱니가 삐족삐족합니다.
02:58
고기를 자르기 딱 좋은 구조인 거죠.
03:00
그런데 오른쪽은 청상아리거든요.
03:03
우리나라 동해에서도 가끔 발견됩니다.
03:06
바다의 치타라고도 불릴 만큼 아주 빠른 상아인데요.
03:10
헤엄친 속도가 최대 지속 70km까지 나옵니다.
03:13
바다 속에서.
03:14
상아 중에 가장 빠른 축하 속해요.
03:17
청상아리 이빨은 백상아리에 비해서 송곳처럼 가늘고 뾰족하게 생겼어요.
03:21
그러면 어떤 먹이를 사냥할 때 적합할까요?
03:25
한 번에 멸치 같은 걸 이렇게 막 돌려다니는 애들.
03:28
정어리 같은 애들.
03:28
정어리 같은 애들.
03:29
딱 멸치는 아니지만 사실은 맞는 말씀을 하신 거예요.
03:33
청상아리는 주로 오징어나 정갱이, 고등어 같이 빠른 물고기를 사냥해요.
03:39
맛있는 거 잘하네.
03:40
빠른 속도로 추격해서 날카로운 이빨로 꿰뚫어 먹는 겁니다.
03:44
그러니까 사진을 보면 청상아리 이빨이 곱게 세워져 있지 않고 안쪽으로 누워 있잖아요.
03:50
이건 한 번 딱 먹잇감이 물리면 도망치지 어렵게 만든 구조인 거죠.
03:56
낚싯바늘처럼 보이죠.
03:57
맞아, 낚싯바늘처럼.
03:58
오징어 또 물컹물컹하니까 딱 걸리지.
04:01
맞아요.
04:02
상어 이빨은 먹잇감에 따라 완전히 다른 모양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04:06
모양은 제각각이지만 언제나 날카롭고 완전한 상태로 사냥을 이어갈 수 있다는 건 공통점이죠.
04:12
누구의 도움 없이 혼자 살아가는 상어에게는 이빨은 곧 생존이자 전략인 겁니다.
04:21
수억 년 동안 바다에 살면서 포식자가 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였던 거죠.
추천
1:12
|
다음 순서
[예고] "살아남은 것이 강한 것이다" 지구에 찾아온 대멸종 속에 살아남은 동물?! 동물들의 신비한 비밀 모음.zip | 브레인 아카데미 9회
채널A Home
2025. 7. 17.
1:15
[예고] 현무's 선배, 28년 차 아나운서 '신영일'과 함께 우리말 퀴즈 타임!
채널A Home
그저께
4:30
[선공개] "그러면 키갈(?)인데요?" 물 위에서 서로 손을 잡는 해달의 다음 행동은 무엇?
채널A Home
3일 전
1:54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
채널A Life
그저께
0:47
[3차 티저] "좋은 보호자 NO! 망치는 보호자!" 늑대로 만든 당신을 위한 맞춤 솔루션 | 개와 늑대의 시간 8/5(화) 첫방송
채널A Home
4일 전
0:30
[예고] 마음과 달리 쉽게 빠지지 않는 체중! 장내 균형을 잡는 것이 올바른 다이어트의 핵심
채널A Home
5일 전
0:33
[예고] 오직 100일만 열리는 길! 인생을 바꾸는 77km, 아순타 패스
채널A Home
5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