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폭우 땐 하천·전신주 피해 대피…땅 울리면 산사태 전조
많은 물이 솟구치거나 땅 흔들리면…산사태 전조 현상
수시로 기상 확인…차량 속도 줄이고 위험지역 접근 금지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
00:03
00:22
00:23통장만 보이고 안 됐어가지고
00:25차라리 날 적당히 못해서
00:27가까이 우리의 옷을 씻어놔서 계속 하셨다고 해요
00:41물이 안 내려와서 마을에 들어갈 수도 없어 지금
00:43꿍꿍꿍 깡깡깡 사면
00:45키도 무섭지요
00:46지금도 트라우마가 있다
00:53정말 극한 폭우로 인명피해까지 난 심각한 상황인데
01:02이 소식부터는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지학 교수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01:07어서오세요
01:07네 안녕하십니까
01:08교수님 이번 비가 사실 매년 우리가 혼수 피해나 이런 거는 겪어왔지만
01:14특히나 좀 심각했던 것 같은데 왜 그런 건가요?
01:17최근 들어서 올해도 굉장히 심각한 피해로 이어지고 있습니다만
01:21최근 3, 4년 동안 한반도의 여름철 강우 패턴이
01:25점점 이렇게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는 이런 현상들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01:29이건 사실 남쪽에 이를테면 고기압, 고기압대
01:32열대성 고기압이 굉장히 강하게 형상이 되고
01:34또 북쪽에 찬 공기들이 내려오는데
01:37이런 것들이 한반도 상공에서 굉장히 강하게 충돌을 하면서
01:40굉장히 좁은 띠 형태로 또 길게 이렇게 형성이 되는 이런 상황이거든요
01:44또 그리고 지난주에 굉장히 극심한 폭염이 있었어서
01:47해수면 온도가 굉장히 높아지면서
01:49굉장히 다습한 한마디로 수증기가 굉장히 많이 머금은
01:53이 공기들이 이렇게 충돌되는 구름 쪽으로 연결이 되면서
01:57이쪽에서 많은 강수를 뿌리고 있는 이런 상황이거든요
02:01이런 경우로 때문에 사실은 지금 현재는 우리나라에서
02:03굉장히 좁은 지역에서 강한 비가 내리는 패턴
02:06이런 것들은 여름철마다 앞으로 계속 반복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02:09전국 곳곳에서 피해가 있었는데 특히 피해가 심한 곳이 바로 경남 산청입니다
02:15산청군은 어제 오후 1시 50분쯤에 산청 전 국민을 대상으로 대피령을 내렸는데
02:22이게 사실 사상 초유의 일이라고 하는데요
02:25사실 교수님 생각해보면 산청군은 대형 산불도 최근에 있었던 곳이더라고요
02:31그래서 산불이 대형 호우가 겹치면서 산사태로 이어졌다
02:36이런 지적이 있는데 어떻게 보시고 계세요?
02:39물론 일반적인 어떤 산림인 경우에도 산악지역인 경우에도
02:43비가 이렇게 많이 온다고 하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 그만큼 커지는데요
02:48다만 산불이 발생을 해서 그 피해 지역 한마디로 산림이 많이 훼손된 상태에서
02:53토사가 그대로 노출된 상황에서 비가 집중적으로 내렸다고 한다면
02:56그런 부분들이 오히려 산사태로 훨씬 더 강하게 또 크게 발생할 수 있게끔 하는 요인이 됐을 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판단이 가능하고요
03:05또 한편 산청 지역 같은 경우 산불 당시에도 굉장히 험한 지형 때문에 산불도 굉장히 급속하게 확산이 되고
03:11또 그리고 진압도 굉장히 어려웠던 그런 분석들이 있었는데요
03:14이렇게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 산사태의 경우에도 사면 경사가 한 30도 이상이 되면 발생 확률이 엄청나게 높아지는데
03:21이 지역 같은 경우가 그렇게 험준한 이런 지형적인 특성들도 산사태가 지금 많이 발생하고 있는 원인이다 이렇게 보겠습니다
03:28저희 채널A 취재진이 산청 산사태 발생 당시의 영상을 확보했는데 잠시 함께 보시죠
03:34토사와 수목이 흘러내리고요 저렇게 지금 차량 블랙박스 영상인데 정말 무섭게 몰아치네요
03:41엄청난 흙더미가 쓸려 내려와서 도로를 덮치고 흙탕물과 나뭇까지 뒤엉키고요
03:48저기서는 사람이 중심을 잡고 서 있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로 금물살 타고 있는 그런 모습입니다
03:56산사태가 사실 한 번 일어나면 집이며 논밭이며 다 휩쓸려갈 정도로 피해가 어마어마한데
04:03이런 산사태가 일어나기 전에 전조 증상이 있다고요?
04:06네 많이들 보도도 되고 그래서 아직 알고는 계실 텐데요
04:11이를테면 산의 사면에서 갑자기 물이 솟아서 나온다든지 혹은 또 산의 가로라든지
04:16세로적으로 수평이나 수직으로 사면에 틈이 갈라진다든지
04:21또 땅 울림이라고 하는 소리가 들린다든지 혹은 또 나무가 심하게 기울어졌다거나
04:26혹은 또 작은 토석류들이 굴러 내려오는 상황들 이런 것들이 사실 산사태의 어떤 전조 증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04:32다만 문제는 우리가 항상 산만 쳐다보고 있는 상황들이 아니다 보니까
04:35이런 전조 증상을 사실 그때그때 바로 우리가 확인하기는 상당히 좀 어려운 상황이고요
04:41앞서 화면에서 본 것처럼 이미 산사태가 발생해서 이런 토석류가 쓸려 내려오는 상황이라면
04:46사실상 또 대비나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조금 더 선제적인 어떤 대피라든지 이런 부분들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04:53네 큰 비로 교각이 무너진 곳도 있었습니다
04:56광주 시민의 목소리 먼저 듣고 오겠습니다
04:59큰 나무 둥치라든지 이런 물건들이 많이 내려와서 교각과 부딪히는 걸 봤습니다
05:07그래서 그런 충격들이 교각을 이렇게 좀 부서지게 하지 않았나 싶네요
05:12변호사님 사실 교각이라고 하면 굉장히 단단한다
05:16다리를 우리가 생각을 할 텐데 교각이 무너질 정도 부서질 정도였나 봐요
05:20그렇습니다 광주에서 부서진 교각 같은 경우에는 1934년도에 설치가 됐다고 합니다
05:25그러니까 전쟁도 겪었던 그리고 실제로 전투까지 있었던 교각이라는 거예요
05:30그런데 이 교각이 전쟁은 버텼지만 폭우는 이겨내지 못했다
05:34지금 이런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데 실제로 교각이 오래됐지만 튼튼했던 것 같습니다
05:38주민들의 일상생활의 통로로 활용이 되는 교각이었는데
05:42당연하지만 이런 폭우 사태에서 주민들의 통행은 지금 중단이 되고 금지가 된 상황입니다
05:50세종시에서는 이런 일도 있었습니다
05:5340대 남성이 하천 급류에 휩쓸렸는데
05:56경찰도 모르고 소방당국도 모르고 지자체 재난지휘부도 몰랐다
06:05변호사님 이게 가능한 일입니까?
06:06그러니까 지금이 그냥 일반 상황이 아니라
06:09지금 대형 체계도 최고조로 발동이 된 상황 아니겠습니까
06:13그리고 지금 이 남성 같은 경우에는 경찰이 신원 파악을 한번 했던 남성입니다
06:18어떻게 된 경우냐면 지난주 목요일에 17일에 새벽에 신고가 들어온 거예요
06:24술에 취한 남성이 상해를 탈의한 채로 걷고 있으니까 좀 위험해 보인다라는 거였습니다
06:28현장에 경찰이 나갔고 해당 남성을 본인들이 파악해봤을 때는
06:33목소리도 괜찮고 또 걸어서 집에 갈 수 있다고 해서 그 부분과 관련해서 일단 귀가 조치를 시켰습니다
06:40그렇지만 이제 안심이 되지 않아서인지 배우자에게 전화통화가 안 되니까 경찰이 업무폰으로 문자를 보냈던 거예요
06:48지금 배우자가 귀가하도록 우리가 조치했습니다
06:51그런데 이 남성 거의 그 이후에 실종이 됐습니다
06:55근무가에 휩쓸려 간 거예요
06:56그럼 그 배우자도 이런 안내를 받았으니까 뭔가 경찰에 연락을 취하지 않았겠습니까
07:01그런데 경찰이 워낙에 바쁘게 하다 보니까 해당 문자를 보냈던 업무폰은 충전을 시키고
07:07다른 업무폰으로 업무를 보고 있어서 그 아내분이 연락을 줬던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고 합니다
07:13그러면서 시간이 지체되고 실제로 어떻게 보면 만 하루 한 23시간이 지난 이후에야
07:19이 남성의 실종 사실을 CCTV 등을 통해서 확인하게 된 이런 안타까운 일도 발생했습니다
07:24물론 워낙 긴박한 상황이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겠나 싶습니다
07:31사실 이거 그럴 수도 있다고 이해를 해야 되는 건지
07:34경찰 한 군데만 문제였으면 또 모르겠는데
07:36그렇습니다
07:37경찰, 소방당국, 지자체 이거 다 모른다는 게 납득하기가 좀 어려운데요
07:41그러니까요 이게 신고 체계를 아마 가족분들이 그 해당 문자를 수령했던 그 번호로만 하셨는지
07:48아니면 별도로 119나 다른 창구를 통해서도 신고를 하셨는지를 살펴봐야 되겠습니다만
07:55워낙에 위험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초동부터 그러니까 초기부터 신고가 들어왔을 때
07:59그렇다면 이 말투도 그리고 언행도 비교적 그렇게 취한 상태가 아니라고 했다면
08:05오히려 호송을 해줬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남는 부분도 있고
08:09남성은 지금은 실종된 상태로 피해가 더 확산되는 이런 상황까지 오게 돼서
08:14좀 경계를 해야 되는 그런 지점이 될 것 같습니다
08:16광주에서는 쉼없이 몰아치는 물살에 20분간 사투를 벌인 끝에
08:22어르신을 구해내는 일도 있었는데요
08:24먼저 영상 보고 오시겠습니다
08:26보면 여러 명이 힘을 모아서 노인을 구하는 모습이 있었는데
08:42알고 보니까 사고 현장 인근에 있었던 공업사 대표와 직원들이었다고 하는데
08:46굉장히 위험해 보이는데 노인을 구하겠다 이런 마음으로 다 같이 나서셨나 봐요
08:51아무리 그 현장 가까이에 있고 위급 상황이라는 것을 목격을 했다고 하더라도
08:56이렇게 현장에 나가서 구출을 해내는 것은 진짜 다른 차원의 일이기 때문에요
09:01왜냐하면 보시는 것처럼 이 물살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09:04사람도 다리만 잠깐만 헛되져도 바로 그 성인 남성도
09:08급물살에 휩쓸려갈 정도의 그런 상황이었거든요
09:11그런데 이 노인분이 아스팔트 쪽에 다리가 껴서 옴짝달싹 못하시는 상황이었던 거예요
09:16그리고 화면에서도 확인 가능하시겠지만 이렇게 차량도 미끄러지면서 내려오고
09:21그러니까 차량도 막고 여러 또 판자 그런 물건들도 휩쓸려서 내려오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09:27상당히 위험할 수 있었는데
09:29일단 이 노인분을 구해냈고
09:31이 인근 공업사에서 근무하시던 대표와 직원분들이 이렇게 헌신을 해주셨습니다
09:36네 관련해서 공업사 대표와 직원들의 목소리를 좀 준비했습니다
09:40들어보시죠
09:41정말 용기 있는 행동이고 찬사를 받을 만한 행동이지만
10:04교수님 또 한편으로 봤을 때는 아찔한 상황이었기도 해요
10:08뭔가 구조를 할 때 좀 주의해야 할 점이 없을까요?
10:11네 맞습니다
10:12사실 다른 사람을 구한다는 거는 정말 웬만한 의지가 굉장히 어렵거든요
10:17다만 문제는 도와주고자 하는 마음보다
10:19우선 본인의 안전이 정확하게 확보가 됐는지가 어떻게 보면 중요하거든요
10:23다른 사람을 돕는다는 건 나를 희생한다기보다는
10:26내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어야 그 결과도 좋기 때문에요
10:30항상 저렇게 다른 사람을 구할 때
10:32저기 지금 현장에서도 혼자가 아니라 주변에 다른 분들이 계셨기 때문에
10:35훨씬 더 안전한 여건이었다고 생각이 되거든요
10:37그래서 단독으로 뭔가 구한다는 행동 이런 것들은 굉장히 어렵고
10:41주변 사람들한테 이런 상황들을 알려서 같이 구조를 한다거나
10:44혹은 또 본인들이 힘으로나 이런 것들이 좀 어렵다고 하면
10:47주변에 좀 도움을 청해서 이런 부분들이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끔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습니다
10:52교수님 지금 이제 비는 조금 잦아들어가는 것 같은데
10:56이럴 때도 사고가 많이 일어나잖아요
10:59우리가 지금 이 상황에서는 어떤 부분을 좀 조심해야 될까요?
11:02기본적으로 이제 비가 어느 정도 잦아들면
11:04사실은 피해를 입은 지역의 주민분들께서는 빨리 가서 복구를 하고 싶어 하신단 말이죠
11:08그런데 이런 복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안전사고의 문제 이런 것들도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11:13그렇기 때문에 충분히 물이 빠지고 또 본인이 기거하던 곳이나
11:16또 복구를 해야 되는 곳들에 대한 안전에 대한 부분을 충분히 좀 확인하셔야 되겠는데요
11:21감전이라든지 또 감염병이라든지 이런 여러 가지 병
11:23그리고 또 실제로도 물에 한 번 침수가 됐거나 수해를 입은 지역 같은 경우는
11:28구조적으로 건물의 구조 안전이라든지 이런 부분도 상당히 취약해져 있기 때문에
11:32이런 부분들의 안전성을 정확하게 확인하신 후에 조치들이 이루어지는 게 좋겠고요
11:36또 비가 많이 온 직후에 산사태 같은 경우는 비가 많이 올 때도 문제지만
11:40비가 온 직후에 한 1주에서 2주 정도 후까지는 계속 산사태 위험들이 잔존하고 있거든요
11:45그렇기 때문에 이런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 주민분들께서는 빨리 현장에 복구하시기보다는
11:50산사태 위험을 항상 예의주시하시면서 이런 부분들을 충분히 좀 확인하시면서
11:55복구를 하시는 게 좋겠다 싶습니다
11:56알겠습니다 말씀처럼 비는 잦아들었지만 모든 안전이 확보될 때까지는
12:01경각심을 늦추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