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16.


커지는 강·이 사퇴론…대통령실 여론 주시

美 '가격 깜깜' 알래스카 가스 장기간 구매 압박

성공률 99% '뻔한 연구'… 국가 R&D 뜯어고친다

'제2의 하늘이' 막는 CCTV, 서로 떠넘기는 교사·행정직원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금까지 생생 지구촌이었습니다.
00:30지금까지 진보당에서는, 진보 진영에서는 강선우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
00:39잠시 후에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00:40오늘 조간신문 네 가지 키워드 준비되어 있습니다. 함께 보시죠.
00:43먼저 첫 번째 키워드입니다.
00:47여론, 한겨레신문이 오늘 일면에 썼는데 어떤 기사일지 함께 보시죠.
00:51커지는 강의 사퇴론, 대통령실 여론주시, 한겨레신문이 썼어요.
01:01한겨레신문이 썼습니다.
01:03강선우 후보자와 이진숙 후보자 사퇴해야 된다는 여론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01:09특히 여성단체가 낸 성명이 상당히 날카롭습니다.
01:14강선우 후보자가 공사 구분도 못한다.
01:16몇 여성단체들이 이런 입장을 낸 겁니다.
01:20민주당의 보좌진협의회가 당 지도부를 찾아가서 우려를 전달했습니다.
01:26상실감을 느꼈다, 실망했다, 이런 내용이라고 합니다.
01:29잠시 후에 민주당 보좌진들이 민주당 지도부를 찾아가서 뭐라고 얘기했는지 잠시 후에 짚어보겠습니다.
01:38그럼에도 불구하고 강 후보자는 버티고 있다?
01:40대통령실은 아무런 결단을 하지 않고 있다?
01:43과연 국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궁금합니다.
01:45결국 강선우 후보자는 어떻게 될까요?
01:50이어서 다음 키워드입니다.
01:52두 번째 키워드는 가스 한국일보 일면입니다.
01:59미국 가격감감 알래스카 가스 장기간 구매 압박.
02:04미국이 우리나라에게 일단은 가스부터 사라 압박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02:09관세 협상에서 해결점을 찾기 난함.
02:13거기에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안 잡히고 있는데 가스까지 사야 합니다.
02:17주한미군 방위비 문제는 접근조차 못했습니다.
02:23이어서 다음 키워드입니다.
02:26세 번째 키워드는 오답.
02:27한국 경제의 일면입니다.
02:28성공률 99%
02:34뻔한 연구.
02:36국가 R&D 뜯어 고친다.
02:38연구 몰두하도록 여러 가지 제도를 바꾼다라는 겁니다.
02:44성공률 99%가 이게 좋은 게 아니라는 거예요.
02:47하나, 하나, 배고프면 밥 먹는다.
02:49뭐 이런 정도의 뻔한 연구라는 거죠.
02:55실패하더라도 과감히 정부 예산으로 R&D에 도전할 수 있도록 토양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03:02이어서 다음 키워드입니다.
03:03네 번째 키워드는 뭘까요?
03:05소관 중앙일보 16면 기사 함께 보시죠.
03:12제희의 하늘이 막는 CCTV.
03:14서로 떠넘기는 교사와 행정 직원.
03:16CCTV 예산 지원을 두고도 교사들은 행정실이, 행정실은 교사들이 서로 폭탄 돌리기, 책임 떠밀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03:30CCTV 관리 업무가 이게 뭐 그렇게 복잡, 대단한 업무는 아니지 않습니까?
03:35서로 내가 하겠다, 이런 모습 기대하는 게 무리입니까?
03:38지금까지 신문읽어준남자였습니다.
03:46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