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4.


숫자 '10'에 갇혀 힘들어하는 아들?
아이에게 숫자 '10'의 진짜 의미는?

#금쪽이 #오은영 #초1

금쪽같은 내새끼를 위해
가족이 변하는 리얼 메이크오버 쇼!
[요즘육아 금쪽같은 내새끼] 매주 금요일 저녁 8시 10분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여기 불 켜!
00:05너가 켜.
00:14엄마, 여기 불 켜지라고!
00:16너가 켜!
00:17난 열 번 켜서
00:20저거 좀 나가거나 아니, 꺼져있어야 된다.
00:24뭐야?
00:24무슨 말이야, 이게?
00:25난 열 번 하고 싶어!
00:27열 번 하고 떼컹 떼컹 떼컹 떼컹 떼컹 떼컹!
00:30아, 아이고...
00:32숫자 10!
00:38너 일로 와.
00:40일로 와.
00:43아이고, 어머!
00:44그랬구나.
00:44채워야 되는 거야.
00:49자, 그럼 나 열 개만 먹어야 돼.
00:51이거 열 번 여기 튀기지.
00:5310핑크!
00:54아이고.
00:55어, 10초만 안아줘.
00:57아이고.
00:58아이고.
00:58아이고.
01:03아이고.
01:05저 정도인지 몰랐어요.
01:07아니, 10초가.
01:08그래서 그걸로 꼭 엔딩을 찍으려고 해요, 아이가.
01:11아이고.
01:11그래서.
01:12이거는 이제
01:14결국 강박, 숫자 강박.
01:17강박은 불안의 일종이기 때문에
01:20늘 그걸 채우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거거든요.
01:23그걸 채워야지만
01:25좀 안 불안한 거니까
01:27결국 이 아이한테 10은
01:29뭔가 이 아이의 마음
01:31이걸 좀 꽉 채우는 숫자인 거 같아요.
01:34나름대로 주관적으로 정해놓은 거 같아요.
01:36네.
01:36근데 지금 말이 나와서 궁금한 게 있으니
01:39네네네네.
01:40이거 강박하고
01:43좀 징크스
01:45네.
01:46약간 좀 비슷하다 느낌도 있고
01:48좀 어떻게 좀 다른가요, 이게?
01:51어, 일종의
01:53아기 강박이죠.
01:54강박이라고는 보는 거예요.
01:56왜냐하면 강박은
01:57결국 불안으로 이해해야 되는데
02:00보통은 징크스는
02:01그 틀 안에서 나의 생활에
02:03마음의 안정감을 찾으려고 하는 거니까
02:07결국
02:08네, 강박의 연장이라고 봐야죠.
02:11그래서 결국
02:13불안을 잘 다룰 수 있도록
02:15우리가 얘를 잘 도움을 줘야 되겠다라는
02:19그렇게 생각을 하시면 될 거 같아요.
02:21네.
02:23빨리 자자.
02:28화장실 가려고.
02:41왜?
02:44어머.
02:47이런 모습 처음 보셨어요?
03:01어머.
03:02엄마는 처음 보셨대.
03:04어머.
03:09집병기인데.
03:10집이 깨끗한데.
03:11저희가 뭐 휴게소나 뭐 이런 거 다니고
03:13집이.
03:13저렇게.
03:14저렇게.
03:21근데 너 계속 불안한가 봐.
03:23그렇지.
03:24어.
03:25불안한가 봐, 되게.
03:27웃을까 봐.
03:37뭐야?
03:37왜?
03:38토예요?
03:39네?
03:40뭐 하는 거야?
03:46아, 침 뱉어.
03:47침 뱉어?
03:47침 뱉어?
03:48왜, 왜?
03:50왜 침을 뱉지?
03:51어머.
03:55왜 침을 뱉지?
03:56왜 침을 뱉지?
03:57침을 뱉는 행동도
03:59요 근래 들어서 나온 행동이라서
04:01네.
04:02자꾸 뭐만 하면은
04:03밖에서도 침을
04:05태태 뱉는다고, 자기.
04:07아, 침이 좀 더럽다고 생각하는 것 같고.
04:12침이 좀 더럽다고 생각하는 것 같고.
04:21오, 침이 좀 더럽다고 생각하는 것 같고.
04:35오박스님, 이것도 오염 강박인가요?
04:37그쵸, 이제 강박적인 면이 좀 이 아이가 있는데요.
04:41다양한 강박이 있는 거죠.
04:42네.
04:4310이라는, 열이라는 숫자에 대한 것도 있고.
04:46네.
04:46청결에 대한 강박도 좀 있고요.
04:48그리고 이 침을 뱉는 거는 좀 의미가 있는데요.
04:51네.
04:52얘는 어떤 상황의 마지막 엔딩을
04:55자기의 어떤 나름의 강박적 기준을 가지고
04:59마지막 찍어야 그걸로 끝을 내야
05:02마음이 편안한데
05:03대변, 소변.
05:04자기 것임에도 불구하고
05:06이거를 더러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05:09그래서 그걸 내보내는 행위 중에서
05:11맨 마지막에
05:12자기 침을
05:14태태태 뱉는 걸로
05:15확인하는 거예요.
05:17마지막을 깨끗하게
05:18자, 이 상황 깨끗하게 마무리
05:20강점을 찍는 거죠.
05:21마지막 장면을 딱 찍고 가는
05:24그런 행동이라고 봐요.
05:26그냥만 보면 괴이하죠.
05:29그러나 이제 그런 의미가 좀 있다고 보는 거죠.
05:32여기서 조금 더 이제 진행이 되면
05:34어떨 수가 있냐면
05:36나름의 또 그 루틴을 만들어요, 룰을.
05:39예를 들어
05:40세 번을 닦아야 된다든가
05:42탁탁탁.
05:43맞아요.
05:44맞아요.
05:44오, 맞아요.
05:46추첨.
05:47제가 뭐 와서 뽀뽀를 만약에 두 번을 했으면
05:50자기도 여기다 두 번을 해야 되고
05:52제가 또 하면 큰일 나요.
05:54반복이에요, 계속.
05:56숫자 맞추세요.
05:57이런 것들을
05:58Undoing이라고 해요.
05:59Undoing.
06:01나의 불안을 유발하는 어떤 것들이
06:04이 Undoing를 통해
06:05중화되거나 없어지는 거예요.
06:08강박적 어떤 증상,
06:10강박 행동
06:11뭐 이런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06:13이것이 불안을 의미하는 거니까
06:15진짜 원인은 무엇인지 잘 봐야 될 것 같아요.
06:18복잡한 게 얽혀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06:20예, 예.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