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2.


내란 특검에 불려 가는 '尹 정부' 국무위원들…왜?
'계엄 전 국무회의·서명 후 폐기' 관련 의혹 정조준
한덕수 소환 조사…尹 2차 조사 앞두고 혐의 확인?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일찌감치 수사에 착수한 내란 특검. 내란 특검에서 오늘 오전에 한덕수 전 국무총리 그리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전격 소환했습니다.
00:30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직전에 열렸던 국무회의와 관련해서 조사가 지금 진행이 되는 것 같아요.
00:42그런데 한덕수 전 총리 같은 경우에는 대선 출마할 때만 해도 말하자면 비상계엄을 막았던 그리고 나는 반대했던 이런 이미지로 굉장히 많이 내비쳤거든요.
00:56본인이 직접 말하기도 했고. 그런데 지금 보면 내란 특검에서 사후 은폐 또는 동조 의혹과 관련해서 뭔가 혐의나 내용을 파악했으니까 부른 거 아니겠습니까?
01:08그럼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한덕수 전 총리의 그런 입장과 정반대되는 거잖아요.
01:14그런데 한덕수 국무총리 같은 경우에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도 출국금지된 사건이 알려지기도 했었죠.
01:22그것도 언론에서 그동안에 이야기했던 것과 수사기관에서 확인한 내용이 좀 일부 다르다라는 보도들이 있었습니다.
01:29그리고 이제는 대선이 끝나고 특검에서 본격적으로 수사를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01:34아마 오늘 소환된 부분은 강익구 부속실장이 만들었었던 계엄령에 대한 추가적인 서류들 이 부분에 대한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을 합니다.
01:44그런데 개인적으로 이 부분에 있어서는 아마도 참고인 신분일 것이라고 생각을 하는 것이 강익구 실장이 서류를 만들 때 한덕수 국무총리가 만약에 시켰었다면
01:55추후에 이 자료를 만드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으니 폐기하자라는 이야기를 했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거든요.
02:01그렇다면 국무위원들이 여기에 대해서 어느 정도 관여를 하고 있었던 것인지
02:06그리고 이게 어제던 헌법상으로는 대통령의 행위를 서명을 한 서류로서 해야 된다는 것이 있습니다.
02:14여기에 대해서 또 과거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 결정을 받을 때
02:18헌법재판소에서도 절차적인 문제가 있다는 부분을 짚었었기 때문에
02:22특검에서는 다시 한번 조사를 할 수밖에 없는 부분들이 있어서
02:26여기에 대해서는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02:28그래도 이 소환까지 했다면 참고인이라고 해도 특검에서는 뭔가 진술이나 구체적인 뭔가 정황을 파악했기 때문에 부르지 않았을까 이런 짐작을 해보거든요.
02:39일단 밖으로 알려진 건 없기 때문에 지금 저희가 알고 있는 것은 일단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본인은 국무회의를 들어갈 때 전혀 모르는 상태로 들어갔다고 진술을...
02:47지금까지는 그렇게 얘기를 했죠.
02:48과거 얘기했었습니다만 아까 언급이 나왔던 것처럼 그런데 CCTV나 이런 걸로 봤을 때 들어가기 전에 이미 좀 인지를 하고 있었던 걸로 밝혀지고 있지 않습니까?
02:56그러니까 조사하는 내란 특검 입장에서 봤을 때는 한덕수 전 총리가 일단 거짓말을 한 것이거든요.
03:01그렇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있어서 왜 거짓말을 했는지 무엇을 숨기려고 했는지 다른 정황상 등거가 또 있는지 이런 것들에 대해서 아마 파기위에서 부른 걸로 보이고요.
03:10아직까지는 참고인입니다만 조사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이 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03:15이것은 내란 특검이 어떻게 진행하는지 좀 지켜봐야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03:18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