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1.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본을 정조준했습니다.

"쌀 부족에도 미국 쌀을 사지 않는 나라"라며 관세 인하는 없을 것임을 시사했는데요.

관세 협상 앞두고 장관이 7차례나 미국으로 날아가 공을 들였는데, 소용이 없었던 셈입니다.

도쿄 송찬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현지시각 29일)]
"'친애하는 일본'에게 자동차에 25% 관세가 부과될 것입니다."

일본을 콕 집어 불만을 표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친애하는 일본'이라며 비꼬듯 언급한 데 이어 자동차 관세 부과 방침도 변함 없음을 알린 겁니다. 

다음 날에도 SNS에 "일본은 대량의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미국의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서한을 보내겠다"고 압박했습니다.

앞서 트럼프는 각국에 상호 관세와 관련한 서한을 보낸다고 밝힌 바 있는데 특정 국가를 콕 집어 밝힌 것은 일본이 처음입니다.

일본은 최근 두 달 사이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을 7차례나 미국에 보내 관세 협상을 했습니다.

하지만 돌아온 것은 일본이 양보하기 어려운 쌀과 자동차에 대한 압박이었습니다.

[아카자와 료세이 / 일본 경제재생상]
"농업을 희생하는 교섭은 하지 않는다는 데에 변함이 없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 일본 총리 (캐나다 현지시각 16일)]
"자동차라는 것은 정말 큰 국익입니다."

심지어 마지막 협상 때는 카운터파트인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지도 못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일본은 존중받고 있다'고 자신했지만 그 기대는 빗나갔다"며 미일 관세 협상 결과를 우려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백악관은 유예 기간 연장 없이 이번 주 중으로 각국의 관세율을 정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도 일본처럼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 등 미국의 압박이 거세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도쿄에서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

영상취재: 박용준
영상편집: 석동은


송찬욱 기자 song@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 미 대통령, 일본을 정조준했습니다.
00:03쌀 부적에도 미국 쌀을 사지 않는 나라라며 관세는 없을 것임을 시사했는데요.
00:09관세 협상 앞두고 장관이 7차례나 미국으로 날아가 공을 들였는데 일본 소용이 없었던 셈입니다.
00:16우리나라는 괜찮을 걸까요?
00:18도쿄 송찬로폭파원이 보도합니다.
00:19일본을 콕 집어 불만을 표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00:33친애하는 일본이라며 비꼬듯 언급한 데 이어 자동차 관세 부과 방침도 변함없음을 알린 겁니다.
00:40다음 날에도 SNS에 일본은 대량의 쌀 부적을 겪고 있는데도 미국의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서한을 보내겠다고 압박했습니다.
00:51앞서 트럼프는 각국의 상호 관세와 관련한 서한을 보낸다고 밝힌 바 있는데 특정 국가를 콕 집어 밝힌 건 일본이 처음입니다.
01:00일본은 최근 두 달 사이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 재생상을 7차례나 미국에 보내 관세 협상을 했습니다.
01:06하지만 돌아온 건 일본이 양보하기 어려운 쌀과 자동차에 대한 압박이었습니다.
01:22심지어 마지막 협상 때는 카운터파트인 스코페센트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지도 못했습니다.
01:28아사히 신문은 일본은 존중받고 있다고 자신했지만 그 기대는 빗나갔다며 미일 관세 협상 결과를 우려했습니다.
01:38이런 가운데 미국 백악관은 유예 기간 연장 없이 이번 주 중으로 각국의 관세율을 정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01:47한국도 일본처럼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 등 미국의 압박이 거세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01:55도쿄에서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
01:58기상캐스터 배혜지
02:01다음 영상에서 만나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