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12.


[앵커]
뉴스에이 시작합니다.

저는 동정민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연일 북한을 향해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

정부는 지난달 동해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 4명을 조속히 북으로 돌려보내기로 했습니다.

저희 취재 결과, 3단계로 진행 중인데요.

대북 전단 살포 중단 어제 지시한 대북 방송 중단에 이어 3단계 인도적 지원이 유력 검토되고 있습니다.
 
북미관계도 꿈틀대고 있거든요.

남북 관계도 변화의 조짐이 감지됩니다.

홍지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이재명 정부가 북한에 인도적 지원 의사를 표명하는 안이 유력 검토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윤석열 정부 때 단절됐던 북한과 소통 채널 복원에도 나설 전망입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1단계 대북 전단 살포 중단 요청, 2단계 대북 확성기 중지가 진행됐고, 3단계는 인도적 지원 의사 표명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통일부가 오늘 지난달 동해에서 표류 중 구조된 북한 주민 4명의 조속한 송환을 추진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외교소식통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북한 주민들을 송환해야 한다"며 "이를 계기로 소통 채널이 복원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때 만들어진 남북 연락 채널은 윤석열 정부 때 단절됐습니다.

[권영세 / 당시 통일부 장관 (2023년 4월)]
"(북한은) 아무 설명도 없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및 군 통신선 간 정기통화에도 응하지 않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6.15 정상회담 25주년 축사에서 "중단된 남북 대화채널부터 빠르게 복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 취임사(지난 4일)]
"북한과의 소통 창구를 열고 대화 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여권 내에서는 소통 채널이 끊긴 만큼, 유엔군사령부 채널이나, 중국이나 러시아 등 제3국을 통한 북한과 접촉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채널A 뉴스 홍지은입니다.

영상취재 : 김기태 박희현
영상편집 : 이승근


홍지은 기자 rediu@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뉴스에 시작합니다. 저는 동정민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연일 북한을 향해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00:05정부는 지난달 동해에서 구조된 북한 중인 4명을 조속히 북으로 돌려보내기로 했습니다.
00:12저희 취재 결과 3단계로 진행 중인데요. 대북 전단 살포 중단 그리고 어제 지시한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에 이어 3단계 인도적 지원이 유력 검토되고 있습니다.
00:24북미 관계도 꿈틀대고 있거든요. 남북 관계도 변화의 조짐이 감지됩니다.
00:30홍지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00:34이재명 정부가 북한의 인도적 지원 의사를 표명하는 안이 유력 검토되고 있습니다.
00:39그 과정에서 윤석열 정부 때 단절됐던 북한과의 소통 채널 복원에도 나설 전망입니다.
00:47여권 핵심 관계자는 1단계 대북 전단 살포 중단 요청, 2단계 대북 확성기 중지가 진행됐고
00:543단계는 인도적 지원 의사 표명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00:59통일부가 지난달 동해에서 표류 중 구조된 북한 주민 4명의 조속한 송환을 추진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01:07외교 소식통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북한 주민들을 송환해야 한다며
01:12이를 계기로 소통 채널이 복원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01:17문재인 정부 때 만들어진 남북 연락 채널은 윤석열 정부 때 단절됐습니다.
01:24남북 공동연락사무소 및 군통신선 간 정기통화에도 응하지 않고 있다.
01:31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6.15 정상회담 25주년 축사에서
01:35중단된 남북 대화 채널부터 빠르게 복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01:41여권 내에서는 소통 채널이 끊긴 만큼
01:54유엔군 사령부 채널이나 중국이나 러시아 등
01:57제3국을 통한 북한과의 접촉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02:02채널A 뉴스 홍진희입니다.
02:03채널A 뉴스 홍진희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