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12.


[앵커]
트럼프 미 대통령도 북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냈다는 보도를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친서 외교를 재개할 분위기입니다.

최주현 워싱턴 특파원입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백악관은 부인하지 않고 트럼프가 친서 교환에 열려 있는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캐럴라인 레빗 / 백악관 대변인]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서신 교환에 여전히 응할 의향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2018년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언급했습니다.

[캐럴라인 레빗 / 백악관 대변인]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첫 임기 때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이뤄진 진전을 보기를 원합니다."
 
트럼프 2기 출범 후 북한과의 '친서 외교' 움직임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2018년)]
"어제 김정은 위원장에게 받은 편지입니다. 정말 특별한 편지예요."

1기 정권 당시 김 위원장과 27통의 친서를 주고 받았던 트럼프는 최근까지도 김 위원장과 소통을 하고 있다며 '브로맨스'를 과시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올해 3월)]
"저는 김정은과 아주 좋은 관계입니다. 아마 언젠가 뭔가를 (북한과) 할 겁니다."

대북 소식통은 "트럼프가 실제로 친서를 보냈다면 북한과 당장 의미 있는 대화 재개보다는 외교적 대화가 가능한지 일종의 '탐색'과 '확인'을 하는 것이 목표였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미국 현지에서는 트럼프가 김정은과 회담을 재개하더라도 비핵화 논의로 난관에 봉착할 수 있다며 협상 조건은 더 까다로울 것이라 분석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

영상취재 : 정명환(VJ)
영상편집 : 박혜린



최주현 기자 choigo@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 미 대통령도 북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00:04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냈다는 보도를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00:10친서 외교를 재개할 분위기입니다.
00:13최주연 워싱턴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00:18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00:23백악관은 부인하지 않고 트럼프가 친서 교환에 열려있는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00:30그러면서 2018년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언급했습니다.
00:45트럼프 2기 출범 후 북한과의 친서 외교 움직임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01:001기 정권 당시 김 위원장과 27통의 친서를 주고받았던 트럼프는 최근까지도 김 위원장과 소통을 하고 있다며 브로맨스를 과시해왔습니다.
01:11대북 소식통은 트럼프가 실제로 친서를 보냈다면 북한과 당장 의미 있는 대화 재개보다는 외교적 대화가 가능한지 일종의 탐색과 확인을 하는 것이 목표였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01:32미국 현지에서는 트럼프가 김정은과 대화를 재개하더라도 비핵화 논의로 난관에 봉착할 수 있다며 협상 조건은 더 까다로워졌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01:43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연입니다.
01:45최주연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