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으로 발탁된 스티븐 미란이 지난해 11월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새로운 환율 협정을 강제하기 위해선 먼저 징벌적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래야 관세 철폐를 지렛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목표는 인위적인 달러화의 약세입니다.
[이윤수 / 서강대 교수 (22일) : 미란은 보고서에서 기축통화, 국제금융거래에서 기본이 되는 돈인데, 기축통화 국가인 미국이 무역적자랑 제조업 붕괴를 해소하려면 환율 압박이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고….]
하지만 달러화 약세는 당장 국채 수요 감소와 금리 상승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게 100년짜리 무이자 국채입니다.
외국이 보유한 기존 국채를 공짜나 마찬가지인 100년짜리로 바꾸면 부담을 크게 완화할 수 있다는 구상입니다.
물론 이런 요구에 순순히 따르진 않을 테니 '관세'라는 채찍과 '안보 우산'이라는 당근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결국, 미국 중심의 무역과 안보 체제에 남으려면 대가를 치르라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에 통화 스와프 등으로 유동성을 보장해주는 방법까지 덧붙였습니다.
[데릴 구피 / 호주 금융시장 분석가 : 트럼프는 부채 상환을 연기하려고 합니다. 여기엔 50년이나 100년 만기 채권으로 전환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대다수 전문가는 전 세계 금융시장을 재앙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어니 테데스키 / 예일대 예산연구소 책임자 : 달러 기축통화 체제는 여러모로 미국에 도움이 됩니다. 금리를 낮추고, 높은 재정 적자를 감당할 수 있게 합니다.]
최근 잇따라 공개 인터뷰에 나선 미란 위원장은 지금은 관세가 유일한 초점이라면서 즉각적인 환율 협상 가능성엔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8대 비관세 부정행위를 열거하며 '환율 조작'을 가장 먼저 꼽았습니다.
YTN 유투권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디자인 | 전휘린
자막뉴스 | 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27132337120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새로운 환율 협정을 강제하기 위해선 먼저 징벌적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래야 관세 철폐를 지렛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목표는 인위적인 달러화의 약세입니다.
[이윤수 / 서강대 교수 (22일) : 미란은 보고서에서 기축통화, 국제금융거래에서 기본이 되는 돈인데, 기축통화 국가인 미국이 무역적자랑 제조업 붕괴를 해소하려면 환율 압박이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고….]
하지만 달러화 약세는 당장 국채 수요 감소와 금리 상승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게 100년짜리 무이자 국채입니다.
외국이 보유한 기존 국채를 공짜나 마찬가지인 100년짜리로 바꾸면 부담을 크게 완화할 수 있다는 구상입니다.
물론 이런 요구에 순순히 따르진 않을 테니 '관세'라는 채찍과 '안보 우산'이라는 당근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결국, 미국 중심의 무역과 안보 체제에 남으려면 대가를 치르라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에 통화 스와프 등으로 유동성을 보장해주는 방법까지 덧붙였습니다.
[데릴 구피 / 호주 금융시장 분석가 : 트럼프는 부채 상환을 연기하려고 합니다. 여기엔 50년이나 100년 만기 채권으로 전환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대다수 전문가는 전 세계 금융시장을 재앙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어니 테데스키 / 예일대 예산연구소 책임자 : 달러 기축통화 체제는 여러모로 미국에 도움이 됩니다. 금리를 낮추고, 높은 재정 적자를 감당할 수 있게 합니다.]
최근 잇따라 공개 인터뷰에 나선 미란 위원장은 지금은 관세가 유일한 초점이라면서 즉각적인 환율 협상 가능성엔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8대 비관세 부정행위를 열거하며 '환율 조작'을 가장 먼저 꼽았습니다.
YTN 유투권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디자인 | 전휘린
자막뉴스 | 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27132337120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으로 발탁된 스티븐 미란이 지난해 11월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00:06새로운 환율협정을 강제하기 위해선 먼저 징벌적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00:12그래야 관세 철폐를 지렛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00:16목표는 인위적인 달러와의 약세입니다.
00:30하지만 달러와 약세는 당장 국채 수요 감소와 금리 상승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00:39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게 100년짜리 무이자 국채입니다.
00:44외국이 보유한 기존 국채를 공짜나 마찬가지인 100년짜리로 바꾸면 부담을 크게 완화할 수 있다는 구상입니다.
00:51물론 이런 요구에 순순히 따르진 않을 테니 관세라는 채찍과 안보우산이라는 당근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00:58결국 미국 중심의 무역과 안보체제에 남으려면 대가를 치르라는 얘기입니다.
01:04여기에 통화사프 등으로 유동성을 보장해주는 방법까지 덧붙였습니다.
01:17대다수 전문가는 전 세계 금융시장을 재앙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01:28최근 잇따라 공개 인터뷰에 나선 미란 위원장은 지금은 관세가 유일한 초점이라면서 즉각적인 환율 협상 가능성엔 선을 그었습니다.
01:41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8대 비관세 부정 행위를 열거하며 환율 요작을 가장 먼저 꼽았습니다.
01:49YTN 유통원입니다.
01:50자세히 훈련하였습니다.
01:55다음 주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