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4. 14.


횡단보도 한복판 '와르르'…부산서 5m 대형 싱크홀
서울 마포구 애오개역 인근 깊이 1.3m 싱크홀
전국 지반침하 우려…'해빙기' 등 복합 요인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금 전국적으로 붕괴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답니다.
00:05왜냐하면 이렇게 광명시의 공사 현장 붕괴 사고에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00:12전국 곳곳에서 지금 싱크홀이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00:17지금 시민들은 언제 누가 어디서 땅속으로 추락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는 겁니다.
00:25어제 오전에 부산 사상구에서는 지금 보시는 것처럼 가로 5m, 세로 3m, 깊이 무려 4.5m 크기의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00:35지하로 연결된 배관이 혼이 들여다보이고요.
00:38만약 자동차나 보행자, 적이 빠지면 크게 다치겠죠.
00:41목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00:43또 있습니다.
00:44서울에서도 발생했는데요.
00:45지금 이 장면입니다.
00:47마포구 애호개역 인근에서 깊이 1.3m 규모의 싱크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00:52즉각 복구 조치에 나섰는데요.
00:56요즘 싱크홀, 심심치 않게 지금 자주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01:00어제 발생한 부산과 서울의 싱크홀은 다행히도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만
01:06이 싱크홀,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을 텐데
01:09봄철에 자꾸 이렇게 생기는 원인이 뭔가 드러났나요?
01:15네, 일단은 부산 지역 같은 경우는 도시철도의 영향을 피하기가 어려웠던 것으로 보이고요.
01:19이미 지난해까지 여러 번, 9차례 이렇게 땅 꺼짐 현상이 나타났다고 하니
01:25관련된 도시개발 계획을 실시하면서 지하철도라든가 이런 지하공사에 있어서
01:31위험성이 없는지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요.
01:36특히 지자체별로 예방 대책이 수립되고 실시한 바도 있었고
01:41서울시도 지난 연희동의 땅 꺼짐 현상 이후로
01:45관련해서 지하 침반 안전 지도를 만들겠다 이렇게 공표한 바도 있었고
01:50과학적으로 종합 분석해서 수체화된 지도를 만들어서
01:53이런 사고를 예방하겠다는 계획도 있었지만
01:56실제 이렇게 단기간 안에 수개월 만에 이런 지도나 안전성을
02:01다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따르고 있습니다.
02:05일부 전문가들 같은 경우에는 미국 지지조사국에서
02:08200년 이상 만들어진 지도도 여전히 미흡하다고 평가받을 정도이기 때문에
02:13오랜 기간 정말 많은 연구와 많은 조사를 통해서
02:17관련된 위험에 대해서 평가하고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된다라는
02:21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고요.
02:23특히 이렇게 일부 자료라도 만약에 작성에 대해서
02:28위험성 평가의 지표가 있다고 한다면 또 시민들에게 공개해서
02:31시민들도 알권리 차원에서 위험한 부분이나 이런 것들을
02:35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 이런 목소리도 같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