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는 76%까지 높아집니다.
급성심장정지를 유발하는 위험 요인 가운데 흡연보다도 높은 수준입니다.
[한진규 / 신경과 의사 (수면 전문의) "(잠잘 때 숨을 제대로 안 쉬면) 5년, 10년, 15년 되면 결국은 심장하고 뇌에 산소가 안 가는 게 쌓이게 될 거 아니에요. 뇌로 산소가 안 가는 게 뇌경색, 심장으로 산소가 안 가는 게 심근경색, 심근경색이 오게 되면 이제 심정지로 되겠죠.
잠잘 때 자주 깨거나 코를 고는 경우, 옆으로 눕거나 엎드려 자는 게 편하다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이라면 기도를 확장해주는 기구가 제일 효과적인 치료 방법인 만큼 전문가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