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밀착에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한반도 정세는? / YTN

  • 어제
■ 진행 : 김영수 앵커
■ 출연 :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 이후 체결된 북러 포괄적 전략동반자 조약이 한반도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공개 경고도 나온 상황입니다. 우리 정부는 주한 러시아 대사를 초치했고한미일 세 나라의 안보 협력은 더욱 강화되는 분위기인데요. 푸틴의 평양방문이 불러온 파장,김용현 동국대 북한학연구소장과 함께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푸틴 대통령이 24년 만에 평양을 다시 방문했는데요. 북러관계가 새로운 관계로 발전한 건 맞습니까?

[김용현]
그렇습니다. 맞습니다. 북러 관계가 그동안 밀월관계, 특수관계 이렇게 우리가 표현을 해왔는데 그것의 제도화를 이번에 만들었다, 그렇게 봐야 됩니다.


어떻게 강화된 겁니까?

[김용현]
그러니까 그동안에 북러 관계는 실질적으로 CIS 국가들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에서 북러 관계가 규정됐다면 이번 방문을 계기로 해서 북러 관계가 동맹보다는 바로 아래 단계, 거의 동맹에 근접한 단계로 왔다. 이렇게 봐야 될 것 같고요. 1961년도에 북러 간에 당시는 북소죠, 북한과 소련 간에 동맹 관계가 만들어졌다, 이렇게 우리가 보고 있는데 1961년 체제에 상당히 근접한 복원이 이번에 이루어진 것이다, 이렇게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공항 마중에서 배웅까지 그것도 새벽에 예정 시각보다 도착한 푸틴 대통령을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나서서 배웅했습니다. 이렇게 극진한 대우로 봐야 될지.

[김용현]
그렇죠. 극진한 대우가 맞습니다. 화면에서 보셨지만 김정은 위원장이 오랜 시간 동안 순안공항에서 기다리는 모습을 봤지 않습니까? 애처로운 모습으로도 느껴졌던 순간들인데요. 결국 김정은 위원장의 입장에서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제대로 풀어냈을 때 지금 국제사회가 북한에 가하고 있는 제재나 압박을 피해 갈 수 있다, 또는 제재나 압박으로부터 빠져나갈 구멍은 러시아다, 이렇게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좀 더 푸틴 대통령을 최대한 예우를 하는 그런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봐야 될 것 같고요. 푸틴 대통령의 입장에서도 지금 우크라이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0623124347189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