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확성기 재개에 온도차…"적극 지지" "신중했어야"

  • 어제
대북 확성기 재개에 온도차…"적극 지지" "신중했어야"

[앵커]

정치권은 북한의 잇단 오물풍선 살포를 일제히 비판했습니다.

다만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두고 엇갈린 평가를 내놨는데요.

자세한 소식,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국민의힘은 "정상 국가의 행위라고는 보이지 않는 치졸하고 저급한 행위"라며 북한을 질타했습니다.

그러면서 남북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효력을 정지하기로 한 점을 다시 한번 지지했습니다.

민주당은 북한을 비판하면서도, 정부가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했습니다.

북한 도발은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한 보복으로 보인다며, '표현의 자유'를 핑계로 국민 안전을 위협에 내몰지 말라 지적했습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를 두고도 입장이 갈렸는데요.

국민의힘은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입니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통화에서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당정은 확성기 재개를 비롯한 다각도의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다" 밝혔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신중했어야 한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해식 수석대변인은 통화에서 "북한의 더 강경한 대응을 불러올 수 있다"며 "국지전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는 사태로 발전하면 일종의 국가비상사태로 갈 수 있다" 지적했습니다.

[앵커]

원구성 협상 소식도 알아보지요.

사실상 민주당의 단독 배분 수순에 접어들었다고요.

[기자]

네, 지난 금요일 협상이 결렬된 이후 여야 대화의 문은 닫힌 분위깁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협상을 기다리겠단 입장이지만, 여야는 법사위, 운영위 등 주요 상임위원장직을 두고 대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민주당은 상임위 단독 배분 수순에 돌입했는데요.

내일 본회의를 열고 11개 상임위원장 자리부터 단독 표결하겠다 예고했습니다.

법사위원장 정청래, 운영위원장 박찬대, 과방위원장 최민희 의원 등이 내정된 상태입니다.

당내에선 18개 상임위를 모두 단독 선출해야 한단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를 군사독재 때도 없었던 폭거라 규정했습니다.

내일 본회의가 열리면 보이콧에 나서고, 의원총회를 열어 대응책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향후 의사일정을 전면 거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요.

국회 파행에 대비해, 정책위 산하에 꾸린 15개 특위를 중심으로 민생현안을 챙기겠단 구상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ey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