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개청...5대 우주강국 꿈꾼다 / YTN

  • 8일 전
지난 월요일 우주항공청이 문을 열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G20 국가 중 유일하게 우주전담기관이 없었는데, 출발이 늦었던 만큼 빠르게 우주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상황인데요.

우주항공청의 역할과 앞으로의 임무, 그리고 풀어야 할 숙제는 어떤 게 있는지 취재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양훼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오세요.

우주항공청이 경남 사천에 문을 열었죠.

국내 우주 기술 수준이나 산업 규모에 비하면 우주청 개청이 많이 늦었다면서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2022년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면서 우리나라는 우리 땅에서 우리 발사체로 우리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세계 7번째 발사체 보유국이 됐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 다누리 발사까지 성공하면서 자력으로 달에 궤도선을 보내는 데도 성공했죠.

세계 7대 우주 강국이라는 타이틀을 얻었지만, 우주 관련 정책과 연구개발 기능이 부처별로 흩어져 하나의 전담기관이 없었는데요.

국가마다 형태나 역할 다르지만, 세계 80여 개국에 우주전담기관이 있습니다.

미 항공우주국 NASA가 가장 대표적이고요, 유럽우주국 ESA를 비록해 일본과 중국, 볼리비아, 페루, 싱가포르 등도 우주청이 있고요.

지난해 아프리카 20여 개국이 함께 아프리카우주국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도 나로호, 누리호를 개발하는 동안 우주전담기관의 필요성이 오랫동안 제기돼 왔었는데, 이제 드디어 우주항공청이 생기게 된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우주청 개청을 내세운 뒤부터는 우주전담기관 신설에 힘이 실리는 듯했죠. 그런데 실제 개청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그간의 과정을 짧게 한 번 짚어주시죠.

[기자]
말씀하신 대로 우주청 개청은 대통령 공약사항이자 국정과제 중 하나인데요.

지난해 정부는 우주청을 2023년 안에 개청하겠다고 밝히고, 지난해 4월 초 우주항공청 설치를 위해 특별법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그런데 우주전담기관의 필요성에는 여야 모두 공감했지만, 구체적인 방식이 달라 특별법 통과는 시작부터 쉽지 않았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래 차관급으로 둘지, 직접 연구개발을 할지 등을 두고 여야 이견을 좁히지 못하다가 올해 1월에서야 겨우 국회 문턱을 넘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주항공청은 직제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 (중략)

YTN 양훼영 (hw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5_20240602143707721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