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료개혁 흔들림 없어"…사태 장기화 대비

  • 2개월 전
정부 "의료개혁 흔들림 없어"…사태 장기화 대비

[앵커]

7천 명 넘는 전공의를 대상으로 면허 정지 처분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턴과 전임의, 교수들까지 이탈하면서 의료대란의 우려는 더 커지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봅니다.

홍서현 기자, 의료계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은 그대로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정부는 "의료개혁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습니다.

어제(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한 윤석열 대통령은 의료현장의 혼란이 역설적으로 의사 수 부족을 입증한다며, 의료공백 정상화를 위해서라도 필수의료 패키지를 신속하게 실행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수련과정 전공의들이 이탈했다고 해서 국민 모두가 마음을 졸여야 하고 국가적인 비상의료체계를 가동해야 하는 이 현실이 얼마나 비정상적입니까."

앞서 정부는 의사들의 의료사고 형사처벌을 완화하는 법안을 공개했는데요.

응급·고난도 수술, 중증 심장질환 등의 수가를 대폭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필수의료 분야 개선에 속도를 내는 한편,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엄중 대응 방침은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 때와는 달리 구제해주지 않겠다는 건데요.

이미 미복귀 증거를 확인한 전공의 7천여 명에 대해 처분 사전통지가 시작됐습니다.

전공의단체 대표 등 '주동 세력'에 대해선 경찰 고발도 검토 중입니다.

[앵커]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지 벌써 3주째입니다.

병원들은 의료공백이 더 길어질 것에 대비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이른바 빅5 병원에선 수술이 평소의 절반으로 줄었는데요.

수술을 위해 입원하는 환자도 줄면서 이곳 서울대병원은 병동을 축소 운영하고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은 이번 달부터 신규 외래 진료를 받지 않는다고 알려졌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을 비롯한 일부 병원에선 간호사 등을 대상으로 무급휴가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환자가 줄면서 직원들의 인건비 부담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의료공백의 장기화에 대비해 1,200억 원대 예비비를 투입하는데요.

의료진의 초과 근무와 병원의 신규 인력 채용 등을 지원하는 데 활용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서울대병원에서 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 (hsseo@yna.co.kr)

[영상취재 송철홍]

#의대정원 #전공의 #집단사직 #병원_이탈 #의료대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