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북한” 이재명, 6·25 전쟁에 뭐랬길래?

  • 4개월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시 20분~19시)
■ 방송일 : 2024년 2월 1일 (목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김형주 전 통합민주당 의원, 서재헌 민주당 대구시당 청년위원장,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정혁진 변호사

[김종석 앵커]
최근에 이 대표가 우리 북한이라는 표현 말고도 북풍 이야기를 꽤 자주 언급했었는데. 먼저 이현종 위원님. 어제 발언 중에 뒤늦게 국민의힘의 공격 대상이 된 부분. 6·25 전쟁은 크고 작은 남북 군사충돌의 누적 탓이다. 일단 직관적으로 어떻게 들으셨어요?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이런 주장이 이제 1980년대를 풍미했던 부루스 커밍스라는 미국 시카고대 교수가 있습니다. 한국 전쟁의 기원이라는 책을 썼는데 역사 수정주의 학자인데요. 당시에 6·25 전쟁의 원인 자체를 이것이 이제 북한의 어떤 군사적 도발 그리고 당시 소련과 중국의 지원. 이런 측면이 아니라 조금 전에 이야기했듯이 남북한 간의 충돌. 그리고 미국의 자극. 그리고 모든 책임은 미국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있습니다. 당시에 학생 운동권이 바로 이러한 한국 전쟁의 기원에 대해서 이런 사상을 가졌고 특히 6·25 전쟁의 책임은 한국과 당시의 이승만 정권과 그리고 또 미국에 책임이 있다. 그리고 북한을 자극해서 북한이 어떤 전쟁을 일으켰다.

그런데 이 주장은 이미 90년대에 러시아 당시 소련이 망하면서 분열되면서 그때 당시에 여러 가지 기록들이 다 공개된 바가 있습니다. 그때 당시에 기밀문서가 해제 후 공개되면서 결국 당시 김일성이 스탈린을 만나서 남쪽에 대한 침략을 하겠다. 그리고 또 중국과의 협조라든지. 이런 것들이 사실들이 이미 역사적으로 다 증명이 됐어요. 이미 이 주장은 80년대에 풍미했던 이 주장들은 90년대 들어서면서 이미 다 깨진 주장들입니다. (용도 폐기됐다, 이 말씀이신가요?) 90년대에 이런 어떤 근거, 자료들이 공개가 되면서 결국은 북한의 김일성이 치밀한 준비에 따라서 러시아의 당시 소련의 도움을 받아서 결국은 남침을 했다. 그리고 결국은 나중에 중국이 인민해방지원군이라는 이름을 통해서 참전함으로 인해서 1·4 후퇴가 벌어졌다. 이런 것들이 역사적으로 증명된 것이거든요. 한동훈 위원장이 자꾸 이야기하는 것이 586의 기득권 등등 하는데. 저는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서 민주당의 어떤 주류 지도부가 결국 80년대에 다 묶여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때 그 읽었던 책 이외에 그다음에 업데이트가 전혀 안 된 거죠. 그러다 보니까 끊임없이 그런 주장들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결국 6·25 전쟁은 당시에 이미 폐기된 수정주의 학자들의 어떤 견해에 따라서 남북 간의 작은 충돌로 인해서 북한을 자극해서 일어난 것이고 이후에 미국이 북한을 너무나 폭격을 가했기 때문에 완전히 초토화됐고. 그래서 북한이 어쩔 수 없이 군사국가가 됐다. 이런 주장들 펼치고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런 것들이 다 어떤 면에서 보면 역사학계에서도 기본적으로 사실 관계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금 민주당의 지도부는 80년대에 묶여있다는 사실을 이런 이재명 대표의 안보관을 통해서 또 한 번 확인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지현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