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되는 '허위 인터뷰' 수사…포렌식만 한 달 이상

  • 7개월 전
지연되는 '허위 인터뷰' 수사…포렌식만 한 달 이상
[뉴스리뷰]

[앵커]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의 '허위 인터뷰' 관련 수사가 속도를 내지 못하는 모양새입니다.

김 씨에게 인터뷰를 대가로 금품을 받은 혐의의 신학림 전 언론노조위원장에 대한 증거 선별 포렌식 작업이 길어지는 건데요.

핵심 증거를 찾을 수 있을지, 수사 향배가 주목됩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은 지난달 1일 신학림 전 언론노조위원장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 하며 '허위 인터뷰' 의혹 수사 신호탄을 쏘아 올렸습니다.

검찰은 신 씨가 김만배씨와 윤석열 대통령이 검사 시절 대장동 대출 브로커의 수사를 무마해줬다는 인터뷰를 한 뒤 대선 사흘 전 뉴스타파를 통해 보도하고 그 대가로 1억6,5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를 전후해 둘 사이 긴밀한 소통 정황이 있었다고 보는 검찰은 사건을 대선개입 여론조작 시도로 규정하고 특별수사팀을 꾸려 뉴스타파 등을 압수수색하며 수사를 넓혀갔습니다.

하지만 신씨 압수수색부터 2주간 빠르게 진행돼 온 수사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신 전 위원장 측은 당사자 참여권을 보장하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압수물 선별, 포렌식 절차에 매번 입회하고 있는데, 이 과정이 한 달 이상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통상 참관은 짧으면 한두번 만에 끝나기도 하지만 신 전 위원장의 외장하드에 든 자료가 10년치에 달하는 등 규모가 방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뉴스타파·JTBC 등으로부터 확보한 압수물 분석도 연쇄적으로 늦어지면서 대가성 수사는 물론 검찰이 강조한 배후세력 규명 수사가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특히 신 전 위원장 측은 검찰에 압수물을 돌려줄 것을 요청했다가 거절 당해 법원에 다시 판단을 구하는 절차인 준항고도 제기한 상황입니다.

검찰 관계자는 "당사자 참관이 꼭 필요해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며 "압수물 분석과 관련자 조사를 병행해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법원이 신씨의 손을 들어주면 수사 차질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검찰이 핵심 증거를 찾아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yigiza@yna.co.kr)

#허위인터뷰 #신학림 #김만배 #압수수색 #검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