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쏙 과학쏙] 원뿔 모양의 하얀 빛…가을에 잘 보이는 황도광

  • 9개월 전
[날씨쏙 과학쏙] 원뿔 모양의 하얀 빛…가을에 잘 보이는 황도광

[앵커]

'황도광'이라고 들어보셨나요?

해가 지나는 길을 황도라고 하는데요.

이 길을 따라 나타나는 신비로운 빛이 바로 황도광입니다.

좀 생소한 현상이지만, 운이 좋으면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는데요.

새롭게 선보이는 코너, 날씨쏙 과학쏙에서 임하경 기상과학전문기자가 더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일상 속 궁금했던 날씨와 과학 현상을 알기쉽게 풀어 드리는 날씨 쏙 과학 쏙입니다.

이 노래,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영국의 유명 록밴드 퀸의 '레디오 가가' 라는 노래인데요.

보컬 프레디머큐리를 익히 알고 계시죠.

저는 퀸의 또 다른 멤버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메이는 색다른 이력이 있는데요.

바로 음악가이자 천체물리학자라는 겁니다.

특히 메이가 가장 관심 있었던 분야는 바로 황도광입니다.

'황도광의 티끌 구름에 관한 시상속도 조사'라는 박사 학위 논문까지 썼으니 말이죠.

이렇게 보랏빛 하늘 가운데 하얗게 솟아있는 부분 보이시나요?

원뿔 모양의 하얀 빛이 선명하게 보이는데요.

이게 바로 황도광입니다.

하얗게 보이는건 태양과 같은 색을 띠기 때문입니다.

황도광은 주로 해가 뜨기 전이나 해가 진 후에 나타나는데요.

동 트기 전의 하늘의 모습으로 착각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짜 새벽' 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 그럼 황도광이 무엇일까요?

우선 황도는 태양이 지나는 길을 뜻합니다.

태양은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죠.

다만 태양을 둘러싼 지구와 행성들이 태양 주변을 돕니다.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마치 태양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요.

이 길을 바로 황도라고 합니다.

태양 주변으로는 여러 행성과 혜성들이 있는데요.

혜성들에서는 아주 작은 입자의 부스러기들이 나오기도 하고요.

소행성끼리 부딪쳐 깨지면서 먼지가 나오기도 합니다.

이 우주 먼지들이 태양에 반사돼 나타나는 빛이 '황도광' 입니다.

그럼 우리나라에서 황도광은 언제 잘 보일까요?

공전 궤도상 지구 위치로 보면 3월 21일 춘분과 9월 23일 추분 무렵이 가장 관찰하기가 좋은 때인데요.

이때 황도면이 지표면과 수직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볼 때 황도와 지표면이 수직에 가까울수록 보기에 좋습니다. 3월엔 해가 진 후 서쪽 하늘에서, 9월엔 해가 뜨기 전 동쪽 하늘에서 잘 보입니다. 특히 이맘때부터 10월까지가 황도광 관측의 적기인데요. 다만, 새벽 하늘에 달이 떠있는 10월 초순은 하늘이 밝아 황도광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사진은 2012년 4월, 하와이에서 찍은 황도광의 모습입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파노라마로 촬영됐는데요.

왼쪽이 동쪽, 오른쪽이 서쪽입니다.

3월에는 해가 진 후 서쪽 하늘에서 황도광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황도광 자체는 굉장히 어둡고 빛이 희미합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하늘이 어두워야 잘 보이는데요.

달과 거리가 떨어져 있어야 관찰에 유리합니다.

또 하늘 관측을 방해하는 인공조명이 있는 도시보다는 빛 공해가 없는 도시 외곽 지역에서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이 사진은 2011년 전라북도 무주에서 관측된 황도광의 모습인데요.

황도광이 잘 보이는 가을 이맘 때, 도시 외곽으로 가셔서 두 눈에 황도광을 담아보는 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날씨 쏙 과학 쏙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