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색 점멸 신호등에 사고…여전히 위태로운 스쿨존

  • 작년
황색 점멸 신호등에 사고…여전히 위태로운 스쿨존

[앵커]

부산의 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퇴근하던 교사가 트럭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당시 도로에는 황색 점멸등만 있었고 보행자 신호는 꺼져 있었는데요.

스쿨존 사고는 반복되고 있지만 여전히 신호 통제가 잘 되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김예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9일 부산의 한 초등학교 앞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던 교사가 트럭에 치여 의식 불명 상태에 빠졌습니다.

사고가 난 도로는 차량 통행이 많았지만 신호등은 황색 점멸등 뿐이었고, 보행자 신호등은 꺼져 있었습니다.

경찰은 교통 정체를 줄이기 위해 보행자 신호를 꺼둔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교통 관리가 잘 되지 않은 사이 사고는 발생했습니다.

이렇게 교통량이 많지만 신호 통제가 안 돼 위험한 스쿨존은 여러 곳 입니다.

서울 마포구의 한 초등학교 앞 어린이 보호구역입니다.

도로 위에서 차량과 길을 건너는 사람들이 뒤엉킵니다.

학교 앞 사거리에는 많은 차들이 지나다니지만 보행자 신호 없이 점멸 신호등만 작동하고 있습니다.

턱이 낮은 보행자 도로에는 방호 울타리도 설치돼있지 않습니다.

"학부모들이나 봉사단체에서 수신호로 통제를 하긴 하는데 횡단보도 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무시하고 달려가는 경우를 몇 번 봤어요. (신호가) 정확히 지켜지지 않는 거 같고 횡단보도가 있으면 좋을 거 같기도 하고"

여러 어린이집과 학교가 모여있는 인근의 다른 도로입니다.

어린이보호구역이지만 차들은 속도를 내 달리고, 인도와 차도의 구분도 없어 보행자들은 차가 다니는 길을 아슬아슬하게 걸어갑니다.

마찬가지로 사거리에는 점멸등 뿐이고, 횡단보도에는 신호등도 없습니다.

"보통은 일반적인 신호로 작동하다가 특별한 경우에 점멸등으로 바꾸는 경우가 많거든요. 스쿨존이고 하니까 적어도 일몰 시간 이후 정도 되어서 아이들의 통행이 없을 때 돼서 점멸등으로 바꾸는 게 맞지 않냐…"

보행자 안전이 최우선인 스쿨존에서는 운전자의 편의보다 사고 예방적 관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TV 김예린입니다. (yey@yna.co.kr)

#스쿨존 #어린이보호구역 #민식이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