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121879 태극기 배지 달고 “호국 영웅 기억·예우”

  • 작년
6일 오전 10시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앞.
 
검은색 양복 차림의 윤석열 대통령이 현충문을 향해 뚜벅뚜벅 걸어나가자 뒤로 8명이 따라 걸었다. 방송에선 이들에 대해 “6·25 전사자 유족이신 김성환님·이천수님·전기희님·고영찬님과 국토방위와 국민의 편안한 일상을 위해 근무하다 순직하신 군인, 경찰, 소방, 해양경찰의 유족이신 이준신님·이꽃님님·박현숙님·황상철님”이라고 소개했다. 이들 옆에는 ‘대한민국을 지켜낸 당신의 희생을 기억합니다’라는 문구가 걸려 있었다.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은 이렇게 시작됐다.
 
윤 대통령의 추념사를 관통한 단어는 기억과 예우였다. 9분간의 추념사에는 ‘영웅’ ‘자유’(8회), ‘기억’(6회), ‘예우’(4회) 등이 등장했다. 아직 유해를 찾지 못한 12만여 전사자를 잊지 않겠다는 의미의 ‘121879 태극기 배지’를 단 윤 대통령은 “저는 오늘 추념식에 앞서 고(故) 김봉학 육군 일병 안장식에 참석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사진] 73년 만에 유해로 만난 ‘호국형제’ 1951년 강원도 양구 ‘피의 능선’ 전투에서 전사한 김 일병은 올해 2월 신원이 확인돼 이날 동생 고 김성학 육군 일병 묘역에 함께 안장됐다. 대통령실은 ‘호국 형제’로 명명했다.
 
윤 대통령은 “그때의 치열한 전투 상황을 알려주듯 고인의 유해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서로 떨어진 곳에서 발굴됐다”며 “정부는 호국 영웅들께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강조한 게 대북 안보 강화였다. 지난해 추념사에서 “북한 핵 위협을 억제하면서 보다 실질적인 안보 능력을 갖추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던 윤 대통령은 올해에는 “한·미 동맹은 이제 핵 기반 동맹으로 격상됐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와 군은 그 어느 때보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7973?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