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5·18 광주 총집결…'헌법 수록' 방법론 온도차

  • 작년
여야, 5·18 광주 총집결…'헌법 수록' 방법론 온도차

[앵커]

5·18 민주화 운동 43주년을 맞아 오늘 광주엔 여야 의원들이 총집결했습니다.

다함께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가운데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방법론을 둘러싼 신경전도 보였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

김수강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국민의힘과 민주당 지도부를 비롯한 소속 의원들은 오늘 일제히 광주를 찾았습니다.

광주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연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는 "오월 정신은 대한민국의 소중한 역사이자 자산"이라며 "당의 진정성이 광주와 호남 시민들의 가슴 속에 울림을 드릴 수 있도록 더욱 힘써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5·18 정신의 헌법수록 문제와 관련해선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고, 당이 갖고 있는 입장이기도 하다"며 "잘 실천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했습니다.

앞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제 '5·18 정신 원포인트 개헌'을 제안했는데요.

대통령실 측은 이에 대해 "비리에 얼룩진 정치인들의 국면 전환용 꼼수"라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대표는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 주장을 오늘도 이어갔습니다.

이 대표는 윤 대통령을 향해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공약을 이행해야 한다"며 "여야 모두의 공약인 만큼 망설일 이유가 없으니 내년 총선에 맞춰 개헌을 이뤄내자"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망언을 일삼은 정부여당 측 인사들에 대한 엄정한 조치부터 이뤄져야 한다"며 국민의힘 김재원 최고위원을 겨냥했습니다.

김 최고위원은 최근 5·18 정신을 헌법에 수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실언으로 당원권 정지 1년의 징계를 받은 바 있습니다.

김기현 대표는 김 최고위원의 거취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당 윤리위 결정을 통해 당의 입장을 알렸다고 생각한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앵커]

민주당이 '코인 논란' 속에 탈당한 김남국 의원을 윤리특위에 제소하기로 결정한 이후에도 관련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네요.

국민의힘은 공세를 이어가는 모습인데요.

[기자]

네, 맞습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대응이 늦었다는 점을 꼬집으며 비판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김병민 최고위원은 SBS라디오에서 "민주당이 김남국 의원이 탈당으로 도망갈 수 있는 뒷문을 열어줬다"며 "민주당이 제명 등 강한 조치를 할 수 있었을 텐데 차일피일 시간을 벌려고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민주당 내에서도 비명계를 중심으로 지도부의 '늑장 대응'을 지적하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요.

조응천 의원은 CBS라디오에서 "과감한 결단, 한 박자 빠른 결정이 필요하다"며 이재명 대표가 "정치가로서 결단하기에는 행정가로서의 때를 벗지 못한 거 아닌가 싶다"고 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imsookang@yna.co.kr)

#5·18 민주화운동 #헌법수록 #김남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