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한미, '워싱턴 선언' 채택…핵협의그룹 신설

  • 작년
[뉴스프라임] 한미, '워싱턴 선언' 채택…핵협의그룹 신설


북핵 대응을 위해 한국과 미국은 핵우산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른바 워싱턴 선언의 의미 그리고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북핵 대응을 위한 강화된 확장억제 대책, 워싱턴 선언을 채택했습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 성과에 대한 총평 먼저 들어보겠습니다.

일각에서는 핵우산을 강화하는 대신, 자체 핵무장이라는 카드 하나를 버린 것이란 평가도 나오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한미가 출범하기로 한 핵협의그룹(NCG)과 나토의 핵공유체제(NPG)가 비교됩니다. 일단 이름에서 Consultative(참조)와 Planning(계획) 단어 하나만 다른데, 이것의 차이가 뭔가요?

핵협력그룹은 양자 간, 핵공유체제는 다자 간 협의체라는 것이 또 다른 차이점입니다. 양자 간 협의체에선 우리의 발언권을 늘릴 수 있지 않을까요?

미국이 전략핵잠수함, SSBN를 상시 배치하는 수준으로 한반도에 전개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북한은 해상을 감시할 수 없는 자산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SSBN이 북한에 실질적인 위협이 될 수 있을까요?

북한은 한미 연합훈련이나 미국 전략자산 전개가 활발할 때 '적대시 정책'이라면서 도발의 계기로 삼았습니다. 전략핵잠수함 한반도 전개에도 반발하며 도발할 수 있지 않을까요?

바이든 대통령이 '워싱턴 선언'을 채택함으로써 대북정책 기조의 중심을 '외교'에서 '억제'로 완전히 전환했다는 미국 언론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백악관 내에서는 동의하지 않고 있는데요. 앞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어떻게 전망하세요?

김건희 여사가 북한에 억류됐다가 풀려난 직후 사망한 웜비어의 모친을 만나 위로의 말을 전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도 북한 인권에 대한 발언 수위가 한 층 높아졌는데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이 '워싱턴 선언'과 관련해 중국에 사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미중갈등 속에서도 이렇게 한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

한미일이 G7 정상회의 마지막 날(다음달 21일)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한일회담에 이어 한미회담, 한미일 회담까지 연달아 이뤄지면, 3각 공조의 그림이 더 확고해지지 않겠습니까? 일각에서는 신 냉전체제로 이어질까 우려도 나오는데요?

우리 시간으로 오늘 밤, 윤 대통령이 미 의회에서 상하원 합동연설을 합니다. 어떤 내용이 담길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