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강제 징용 해법, 미래 위한 결단”…새 출발점 될까

  • 작년


[앵커]
"결단을 내린 것이다"

정부의 일제 강제 징용 배상 해법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이 공개됐습니다.

정부안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는 걸 막기 위해 대국민 설득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대통령실은 나흘 뒤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을 한일 관계의 새로운 출발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조영민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정부의 강제 징용 배상 해법은 '미래를 위한 결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일 정상회담을 나흘 앞두고 대통령실이 윤 대통령의 비공개 발언을 공개하며 한일 관계 개선 의지를 다시 한 번 부각한 것입니다.

[제10차 국무회의(지난 7일)]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주문을 했고 그리고 그동안 여러 우여곡절을 통해서 어제 하나의 우리 정부의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정부 관계자는 "이번 회담이 양국 관계의 새로운 출발점이라는 의미가 있다"며 "5월에 있을 G7 정상회의까지 큰 그림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는 16일 정상회담을 통해 한일 관계 정상화의 물꼬를 트겠다는 것입니다.

회담에서 합의 가능성이 있는 정상간 '셔틀 외교' 복원과 히로시마 G7 정상회의 참석 등을 통해 관계를 더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제10차 국무회의(지난 7일)]
"한일 관계를 안보, 경제, 또 국민들 간의 다양한 문화 교류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절실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입장을 초기부터 분명히 했습니다."

다만 일본과 과거사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가 윤 대통령의 과제입니다.

일본 언론은 "기시다 총리가 이번 회담에서 새로운 사과 대신 1998년 한일공동선언 등을 계승하겠다는 입장만 표명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대통령실은 과거사에 대한 진솔한 대화를 위해서 미래 지향적 관계 개선이 바탕이 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윤 대통령은 또 한일 관계 개선이 대선 공약을 실천하는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

영상취재 : 한규성 조승현
영상편집 : 오성규

조영민 기자 ym@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