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렷한 관계개선 의지…과거사 언급은 없어

  • 작년
뚜렷한 관계개선 의지…과거사 언급은 없어

[앵커]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는 미래 지향적 한일 관계를 강조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일제 강제징용 배상 문제 같은, 양국 사이 현안에 대해선 구체적 언급이 없었습니다.

방현덕 기자입니다.

[기자]

기념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역시 일본에 대한 언급입니다.

"3·1운동 이후 한 세기가 지난 지금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작년 광복절 경축사의 '힘을 합쳐야 할 이웃'이란 표현에서 '협력 파트너'로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뚜렷한 관계 개선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평가됩니다.

한일 최대 현안, 과거사 문제에 대한 언급은 기념사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사죄, 반성 요구도 없었습니다.

강제징용 피해 배상을 둘러싼 양국의 막판 협상이 진행 중인 점이 고려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과거 대통령들 기념사와 달리 대북 메시지는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대신 북핵의 위험성을 부각하며 한미일 안보협력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작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비핵화 로드맵 '담대한 구상'을 제안했는데, 북한이 호응 대신 도발 수위를 높이며 관계가 더 얼어붙은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윤 대통령의 첫 3·1절 기념사는 약 1,300자, 5분 20초 길이로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의 절반 이하 분량이었습니다.

취임 때부터 강조해온 '자유'가 8번 언급됐고, '미래'는 5번 나왔습니다.

연합뉴스TV 방현덕입니다.

#윤대통령 # 3·1절_기념사 #한일관계 #강제징용배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