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속 '난방비 폭탄'…취약계층 '직격'

  • 작년
한파 속 '난방비 폭탄'…취약계층 '직격'

[앵커]

연초부터 고지서 받아보신 분들, 적잖이 놀라셨을 텐데요.

매서운 칼바람에 치솟는 난방비 부담까지 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출 비용 중 난방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취약계층은 어려움이 더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채희 기자입니다.

[기자]

한파로 늘어나는 난방비에 느는 건 서민들의 시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중에서도 부담을 가장 많이 느끼는 건 어르신들입니다.

"지난달에는 15만 원 정도였는데 32만 얼마인가 나왔어요…할머니하고 나하고 둘이 사는데 날마다 그래, 계량이 잘못됐다고 호통을 치는 거야."

오래된 주택이나 빌라일수록 연료비가 더 나올 수 있어서 한파가 두렵습니다.

"바닥이 차면 한 20분 돌리고 그러니까 하루 종일 많이는 못 돌리고 찬기만 간신히 면하는 거예요."

마음껏 보일러를 틀 수 없는 건 취약계층 아이들을 돌보는 지역아동센터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가스요금이 26만 원이나 오른 센터도 있습니다.

"난방비가 올랐어도 실내 온도는 적정온도를 유지해야 하잖아요…아이들한테 그렇다고 춥게 있을 수도 없는 상황이고."

지역아동센터의 절반 이상이 오래된 건물에 입주해 있어, 겨울철 보일러 고장뿐 아니라 배관이 어는 일도 일쑤입니다.

"난방비나 가스요금, 기름값 오르는 상승률이 워낙 높다 보니까 가스요금이나 난방비를 지출하고 나면 아이들에게 쓸 수 있는 프로그램비나 교재비 같은 것들이 줄어드는 상황이어서…."

올겨울은 초강력 한파가 유난히 기승을 부리면서 벌써부터 다음 달 고지서 걱정에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한채희입니다. (1ch@yna.co.kr)

#난방비 #고령층 #지역아동센터 #취약계층 #가스요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