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확실성 커진 올해…기민한 분산 투자 필요

  • 작년
경기 불확실성 커진 올해…기민한 분산 투자 필요

[앵커]

올해도 고물가와 고금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경기는 좋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입니다.

이런 때일수록 재테크를 하려면 꼼꼼하게 따져봐야하는데요.

전문가들은 올해 시장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 이은정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기자]

올해 우리 경제는 상반기까지 경기 둔화세가 이어지다 하반기부터 개선되는 '상저하고'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특히, 고금리와 고물가를 고려하면 상반기까지는 투자할 때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게 대체적 시각입니다.

"1분기까지는 침체, 마이너스 성장이 우려되기 때문에…재테크가 상당히 어려운 시점인 건 분명한 것 같습니다."

지금은 불확실성과 추후 금리 하락 가능성으로 채권 투자가 주목 받지만, 하반기로 가도 물가가 꺾이지 않고 고금리가 이어지면 별다른 이익을 못 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입니다.

반면, 혼조 양상인 증시는 4분기 경기 반등 가능성이 거론되는 만큼, 하반기에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반기 채권, 하반기엔 주식이 유망하다는 '상채하주'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당장은 채권이 유리하긴 하겠지만, 하반기 들어서는 무한정으로 가격이 상승한다는 희망을 갖기는 어렵다…결국 얼마만큼 경기사이클이 급격히 둔화하느냐, 경기 상황과 지표 개선에 따라선 주식 시장에도 여러 투자기회가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이라…"

자금이 안전한 은행으로 대거 몰려들지만, 자금 쏠림을 막으려는 금융당국 압박에 고금리 예·적금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시중금리가 하락하고 있어서 정기 예금 같은 건 만기가 가급적 긴 걸로 선택하는 게 유리하고….

안팎의 불확실성이 큰 올해, 기민하게 움직이는 분산 투자가 답일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 (ask@yna.co.kr)

#적금 #재테크 #주식 #채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