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북 "핵에는 핵"…유엔 안보리, 북 ICBM 회의 개최

  • 2년 전
[뉴스포커스] 북 "핵에는 핵"…유엔 안보리, 북 ICBM 회의 개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8일 ICBM을 발사한 직후 핵에는 핵으로 정면 대결할 것이라고 말하며 선제타격 가능성까지 내비쳤습니다.

이에 한미는 B-1B 전략폭격기를 동원해 연합공중훈련으로 대응했습니다.

내일 새벽엔 북 미사일 관련 유엔 안보리 회의가 열립니다.

강대강 악순환에 한반도 위기가 점점 고조돼 가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임을출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교수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먼저, 지난주 금요일 북한이 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 화성-17형을 발사했는데요. 지난 3일에 이어 보름 만에 다시 ICBM을 쏘아 올린 건데, 성공이다, 아니다 라는 논란은 있지만, 교수님이 보실 때 북한의 핵 위협 수준이 한층 높아졌다 평가하십니까?

이번에 북한이 발사한 화성 17형을 가리켜 '괴물 ICBM'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북한의 ICBM 시험 발사 하루 만에 미국도 B-1B 전략폭격기를 한반도에 전개하며 대응 무력시위를 벌였는데요. 한미, 미·일이 주말 내내 공중훈련을 실시했는데, 그만큼 한미일 역시 큰 위협을 느꼈다고 봐야겠죠?

김정은 위원장이 화성 17형 시험 발사 당일 '핵에는 핵으로 정면 대결할 것'이라며 강한 발언도 내놓았고요. 이튿날 노동신문에는 선제 타격 가능성까지 언급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ICBM 발사장에 딸까지 데리고 나와 공개를 했는데요. 이건 핵 포기는 없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까요?

발리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있고 난 뒤, APEC 정상회의에서는 미중 간의 통상협상도 재개가 됐습니다. 악화일로로 치닫던 미국과 중국 간의 기류가 다소 바뀐 것 같은데요. 통상 협상을 재개한 미중 간에 안보는 어떨까요? 중국이 언제까지 북한을 방관할 것인가? 그 속내도 궁금합니다.

이번에 한반도에 전개된 미국의 B-1B 전략폭격기가 이례적으로 서해 군산지역까지 들어왔다고 하는데요. 중국을 압박함으로써 북한 도발을 막겠다는 건데, 역으로 중국이 반발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한국시간으로 내일 새벽에는 유엔 안보리 회의가 열립니다. G7 국가들도 북한의 ICBM 발사에 강력 규탄하며 안보리의 추가적인 중대 조처를 촉구했는데요. 지난 5월에도 미국 주도로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에 무산이 됐는데요. 이번엔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까요?

북한 최선희 외무상이 최근 ICBM 시험발사를 규탄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향해 미국의 허수아비라고 비난하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는데요. 북한도 내일 있을 유엔 안보리 회의를 주시를 하고 있다는 건데, 북한이 안보리 회의가 열리기 전에 담화문을 낸 적이 있나요? 외무성 명의 담화문을 발표했다는 건 어떤 의미인 건가요?

현 상황을 5년 전인 2017년, 북한이 미군 기지가 있는 괌을 타격할 수 있는 중거리탄도미사일 화성-12형을 시험 발사했고 6차 핵실험 감행에 이어 ICBM까지 쏘아 올렸던 때와 비교하는 분석이 많은데요. 교수님께서도 같은 생각이십니까?

미중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북한 문제로 중국을 압박하긴 했지만, 사실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경제 문제들로 인해 북한 문제에 전념하기 어려운 상황인데요. 미국은 여전히 북한과의 대화 채널이 열려있다고 하지만 2017년처럼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거라 보시나요?

ICBM 시험발사 이후 북한의 다음 행보도 궁금합니다. 북한이 이번에 ICBM을 고각으로 발사해 성공했다고 가정한다면, 다음은 일본 열도를 넘겨 발사 시험을 할 수도 있을까요? 아니면 ICBM 시험발사 성공 자신감으로 핵실험을 강행하게 될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북한의 미사일 폭주 뒤엔 해킹으로 탈취한 암호화폐가 있기 때문에 대북 군사적 억제뿐 아니라 자금줄을 차단하는 것도 시급하다는 분석도 있고요. 북한의 뒷배 역할을 하는 중러에 대해서도 세컨더리 보이콧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교수님께서 보실 땐 어떤 조치가 실효성이 있을 거라 보시나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나 미국의 확장억제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더욱 도발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데요. 미국 전직 고위 관리들은 한국에 사드 추가 배치를 주문하고 있고요. 국내에서는 전술핵 재배치나 핵무장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어떤 대비를 해야 한다고 보시나요?

#김정은_국무위원장 #ICBM발사 #선제타격 #한미_B-1B전략폭격기 #연합공중훈련 #유엔안보리회의 #대북제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