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보다 '물고기 잡는 법' 필요…어른의 격려도"

  • 2년 전
"돈보다 '물고기 잡는 법' 필요…어른의 격려도"

[앵커]

정부의 이번 자립준비청년 지원대책 중에 무엇보다 당장 체감할 수 있는 건 경제적 지원일 겁니다.

지원금을 늘려준다고는 하지만 막상 어떻게 잘 써야 할지 어려워하는 자립준비청년들도 적지 않다고 하는데요.

차승은 기자가 이번 대책에 대한 자립준비청년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기자]

지난 3월 보육시설을 나온 20살 대학생 A씨.

시설에서 받는 용돈과 후원금을 차곡차곡 모아둔 덕에 당장의 돈 걱정은 덜었지만, 예상치 못한 일에 당황한 적이 있습니다.

"제 우편함에 뭐가 많이 들어가 있는 거예요. 고지서가 온다는 것도 몰랐고, 난방비는 이미 그냥 전기세에 포함돼 있는 건 줄 알았어요."

사회에 나가면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이 뭔지, 소비는 어느 정도가 적정한지 등 경제관념이 부족했던 것입니다.

자립 정착금을 쉽게 써버리거나, 도박 등에 빠지는 경우도 왕왕 있다고 말합니다.

"저희 쪽(시설)에서 비트코인이나 그걸로 인해서 돌아가신 분이 계시죠. (코인하시다가 잘 안 되셔서) 네, 맞아요."

자립 전 머무는 시설에서 금융교육은 형식적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고 인력 부족으로 세세히 지도해주기도 어려운 실정입니다.

자립수당과 정착금을 올려준다는 정부 발표에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이유입니다.

"돈을 많이 주면 감사하지만 그런 것보다는 그런 교육, 경제 관념에 대한 게 더 필요한 것 같아요."

정부가 진행하는 심리지원 사업 참여율도 저조합니다.

한 해에 자립준비청년 2,400명가량이 나오지만, 10년 넘게 진행돼 온 멘토링 사업인 바람개비 서포터즈의 경우 지원은 1년에 약 36명꼴에 그칩니다.

"물어보면 몰랐다고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 같고… 그런 정보를 얻기도 힘들 뿐더러…"

무엇보다도 자립준비청년들은 사회의 따뜻한 시선, 격려 한 마디가 사회에 빠른 적응을 도울 수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제 선배들이 대부분 나쁜 길로 빠졌거든요. 저는 체육 선생님 그때 진짜 맨날 잡혀 살았거든요. 그 선생님하고 제가 다녔었던 합기도 관장님 덕에 지금 많이 좋아졌죠."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chaletuno@yna.co.kr)

#자립준비청년 #보호종료아동 #보건복지부 #금융교육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