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음 무시·늑장 대응…안전시스템 총체적 부실

  • 2년 전
경고음 무시·늑장 대응…안전시스템 총체적 부실
[뉴스리뷰]

[앵커]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이태원 참사가 관계당국의 안전불감증과 총체적 부실 대응에서 비롯된 인재였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인파사고 위험성을 알리는 사전경고음들은 무시됐고, 112신고가 빗발치는 상황에서도 국가재난안전망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의혹은 전방위적인 경찰청 특별수사 본부 수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장 총책임자인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은 참사 당일 사고 발생 밤 10시 15분 이후에도 서둘러 현장으로 향하지 않았고, 경찰 기동대는 약 1시간 30분이 지나서야 현장에 투입됐습니다.

야간 당직 책임자였던 서울경찰청 112종합상황실 상황관리관은 자리를 비웠습니다.

소방청은 당일 밤 10시 48분 소방대응 1단계 상황을 긴급 전파했지만,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11시 20분에야 사고 내용을 비서실의 연락을 받고서 인지했습니다.

용산구청 상황실은 당일 밤 10시 29분 유선으로 사고 소식을 접했지만 정작 박희영 구청장은 이태원 상인이 보낸 문자를 받고 10시 51분쯤 상황을 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시가 네덜란드 출장 중이던 오세훈 시장에게 보고한 건 1시간 가까이 지난 밤 11시 20분.

발생 후 90분 뒤인 11시 56분, '이태원 긴급 사고로 교통이 통제 중이니 차량 우회 바란다'는 재난 문자가 발송됐습니다.

참사 발생 전 대응도 문제입니다.

구체적으로 '압사'를 언급한 경우를 포함해 112신고가 11차례 이어졌지만 4건만 현장 출동이 이뤄졌습니다.

10만 명 이상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경력 배치는 범죄 단속에 집중됐습니다.

용산구청장은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도 사전 대책회의에 참석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신속한 지휘도 사전 예방 작업도 부실했던 결과는 끔찍한 참사로 돌아왔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 기자입니다. (goodman@yna.co.kr)

#이태원 #늑장 #부실 #대응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