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북, 화성-17형 추정 ICBM 발사…다음 도발은?

  • 2년 전
[뉴스특보] 북, 화성-17형 추정 ICBM 발사…다음 도발은?


북한이 오늘은 대륙간 탄도미사일, ICBM을 발사하며 도발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습니다.

시간과 장소를 바꿔 여러 미사일을 섞어 쏘면서, 한미의 대응을 살피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 연구위원과 북한의 도발 의도 분석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북한이 오늘 오전 동해상으로 3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첫 번째 미사일은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됐는데요. 탄두와 추진체가 분리된 것으로 볼 때 대륙간 탄도미사일, ICBM으로 추정됩니다?

이 장거리 탄도미사일은 지난해 북한이 처음 공개했던 화성-17형인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화성-17형'은 기존 '화성-15형'과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지난 3월 16일 이었죠. 북한이 발사했던 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이 수 km의 낮은 높이 상공에서 폭발하면서, 평양 민가도 피해를 입은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오늘도 2단 분리에 성공했지만, 정상 비행에는 실패하고 동해상에 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잇단 실패 원인은 무엇 때문이라고 보십니까?

북한이 '화성-17형'으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고각으로 발사해 단 분리까지는 성공한 것을 보면, 일부 기술적인 진전을 이룬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장거리 탄도미사일은 정상 비행에 실패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북한이 조만간 재발사를 시도할 가능성도 있어 보이는데요. 북한의 ICBM,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렀다고 보십니까?

실패 여부와 상관없이 북한이 ICBM 발사라는 고강도 도발을 감행한 만큼, 유엔 안보리의 추가 제재 등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다.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일본에선 피난 경보가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일본 열도를 통과하지 않았는데 신칸센도 일부가 한때 정지됐다고 하는데요. 지난달 중거리 미사일이 일본 열도를 통과한 이후 일본의 긴장 수위가 높아진 것으로 보여요?

한미 공군이 원래 내일까지였던 '비질런트 스톰' 훈련 기간을 연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북한의 잇단 도발로 고조되고 있는 현재의 안보 상황을 고려한 조치로 보이는데요. 북한이 담화를 통해 비판해온 훈련인데, 기간 연장과 관련해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최근 북한은 군사 도발의 표면적인 이유로 한미 연합훈련을 들고 있는데요. 결국 미국을 협상장에 앉히겠다는 목적으로 보이는데, 미국은 '조건 없는 대화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런 평행선,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이제 북한의 남은 카드는 사실상 핵실험으로 보입니다. 한미 당국 역시 북한이 이미 7차 핵실험 준비를 마친 상황이라고 보고 있는데요. ICBM 탑재용 핵탄두를 시험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잇따른 도발로 북한이 긴장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우리 군은 어제는 비례성 원칙에 따른 맞대응이 있었고, 오늘 정부는 한미 확장 억제와 한미일 안보 협력을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강대강 대치, 언제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십니까?

#북_탄도미사일 #화성-17형 #ICBM #7차_핵실험 #확장억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