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중단으로 인천 애물단지된 '상상플랫폼'...'자잿값 오르고 대출은 막히고' / YTN

  • 2년 전
주요 자잿값이 오르고 대출받기도 까다로워지면서 건설현장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인천에선 부두의 폐창고를 복합문화시설로 리모델링 하는 공사가 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해 중단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정현 기자!

[기자]
네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 앞입니다.


박 기자 나가 있는 상상플랫폼은 어떤 곳이고, 지금 상황은 어떤지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곳은 원래 지난해 말까지 복합문화시설로 꾸며질 계획이었는데요,

보시다시피 공사가 멈춰 지나다니는 사람도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인천항의 폐 곡물 창고였던 이곳은 지난해 5월부터 복합문화시설로 탈바꿈하기 위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인천시가 지난 2019년 이곳을 매입한 뒤 공적 공간 30%에 대해선 직접 공사를 진행하고, 나머지 70%는 사적 공간으로 민간 업체에 공사와 운영권을 맡겼는데요,

시가 운영하는 공적 공간 30%는 이미 지난 6월 공사가 완료됐지만,

나머지 사적 공간은 지난 3월부터 벌써 7달째 공사가 멈춰 있습니다.

사적 공간을 맡은 시행사가 시공사에 공사대금을 지급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시행사는 모두 270억 원이 넘는 공사대금을 공정률에 따라 두 달마다 20억 원씩 나눠 시공사에 지급하기로 했는데요.

처음 한 차례 20억 원을 준 이후로는 공사비 지급이 뚝 끊겼습니다.

공정률이 이미 80%를 넘었는데도 시행사가 대금을 치르지 못하고 있는 건 금융권 대출이 막혀서입니다.

보통 시행사는 미래에 발생할 수익을 담보로 금융기관에 사업비를 빌리는데,

원자잿값이 크게 올라 수익성이 떨어질 걸 우려한 금융권이 대출을 거절하면서 문제가 생긴 겁니다.

실제로 주요 건설 자재인 철근, 시멘트 등은 지난해 대비 오름폭이 40%가 넘는데요,

이 때문에 이곳 공사 대금도 애초 192억 원에서 277억 원으로 80억 원 넘게 불어난 상태입니다.

시행사 측은 현재 자금 조달 계획을 다시 세우고 인천시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지금으로써는 언제 완공될지도 알 수 없는 데다 이미 공사가 끝난 공적 공간도 나머지 공사가 마무리될 때까지는 사실상 이용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대출이 막혀 공사가 중단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최근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로 금융기관들이 돈줄을 더욱 조이면서 건설현장... (중략)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1027121355081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