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1번지] 검찰, 민주연구원 압수수색…민주 "시정연설 수용 거부"

  • 2년 전
[여의도1번지] 검찰, 민주연구원 압수수색…민주 "시정연설 수용 거부"

■ 방송 :
■ 진행 : 정영빈, 이윤지 앵커
■ 출연 : 조청래 전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김성회 정치연구소 씽크와이 소장

오늘 정치권 이슈들, 조청래 전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김성회 정치연구소 씽크와이 소장, 두 분과 자세히 짚어 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검찰의 민주당사 압수수색 재시도에 민주당은 의원총회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대통령실 앞 항의 기자회견을 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섰고요. 국민의힘은 '정당한 법 절차'라고 강조했습니다. 두 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윤 대통령은 "헌법이 보장한 시정연설에 조건을 붙이는 건 헌정사에서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어떤 의미로 들으셨습니까?

국민의힘은 오늘도 "특검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못 박았습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특검을 하자는 사람이 범인이다"라는 이재명 대표의 과거 발언을 소환하기도 했는데요?

이재명 대표, 수사는 특검에 맡기자면서 필요하다면 저축은행 비리 봐주기 의혹은 특검 대상에서 빼도 된다고 제안했는데요?

'시정 연설 보이콧'을 시사했던 민주당이 오후 의원총회에서 시정연설에 정상적으로 임하지 않겠다며 "어떤 형태의 수용 거부가 될지는 내일 오전에 논의해 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어떻게 대응할 거라고 보십니까?

검찰의 이번 수사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의 진술로 급물살을 타지 않았습니까. 그동안 입을 닫고 있었던 유 전 본부장이 왜 마음을 바꿨는지를 두고 해석이 많았는데, 유 전 본부장은 검찰에 회유당한 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두 분은 그 이유를 뭐라고 보십니까?

유 전 본부장은 석방 후 작심한 듯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급하게 갈 것 없다. 천천히 말려 죽일 것"이라며 추가 폭로도 예고했는데요. 유 전 본부장의 작심 발언의 파급력이 얼마나 될 거라고 보십니까?

불법 정치자금 혐의로 구속된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은 변호인을 통해서 "8억원 수수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거대한 조작의 중심에 서있다", "중차대한 경선에서 정치자금을 요구할 만큼 어리석지 않다고"고 주장했습니다. 검찰이 이번 사건을 조작했다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는 거 같습니다?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현실화 되면서 민주당 내부에서 '이재명 대표 퇴진론'이 나왔습니다. 김해영 전 의원은 "그만하면 됐다. 역사의 무대에서 내려와달라"는 글을 올렸는데 지도부에서는 이 대표 퇴진론에 대해 자제를 당부했지만, 검찰 수사망이 좁혀질수록 내부 파열음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서해 피격 사건' 책임자인 서욱 전 국방장관과 김홍희 전 해경청장이 구속됐습니다. 법원은 "증거인멸과 도주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는데요. 전 정부의 장관급 인사의 첫 구속, 어떻게 보십니까?

두 사람의 구속으로 문재인 정부 당시 '윗선'을 향한 검찰 수사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검토될 가능성도 나오거든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지난 4일부터 시작된 윤석열 정부의 첫 국정감사가 오늘 마무리됩니다. 마지막 날인 오늘도, 여야는 상임위 곳곳에서 충돌하고 있는데요. 윤 정부의 첫 국감,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윤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예산국회로 접어드는데요. 사정정국에 여야가 강 대 강으로 대치하면서 예산안 처리, 정부조직법 개편안이나 주요 법안 처리가 가능하겠느냐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윤석열 대통령 퇴진 집회에 김용민 의원 외에도 안민석, 황운하, 민형배 의원도 참석했습니다. 야권 현역 의원들이 대통령 퇴진 집회에 참석한 것을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하고요. 김용민 의원의 '윤 대통령 자진 사퇴' 발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국민의힘에서는 '반헌법적 탄핵 내란선동'으로 규정하고, 제2의 광우병 선동, 통합진보당의 후예, 홍위병이라는 원색적인 비난을 쏟아내고 있는데요. 그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