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하청 노동자 무기 단식…정부 "불법 파업"

  • 2년 전
대우조선 하청 노동자 무기 단식…정부 "불법 파업"
[뉴스리뷰]

[앵커]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동자 파업 사태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습니다.

지난달 2일 파업을 시작한 노동자들은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갔는데요.

정부는 관계부처 장관 담화문을 통해 노조의 선박점거를 불법이라고 비판하며 대화를 촉구했습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동자 3명이 무기한 단식에 돌입했습니다.

민주노총 소속 하청 노동자들은 이미 40일 넘게 파업 중으로 지난달 18일부턴 옥포조선소의 가장 큰 도크에서 건조 중인 원유운반선을 점거하고 농성 중입니다.

이들은 지난 5년간 조선업 불황 속 30% 하락한 임금의 원상회복과 전임자 등 노조활동 인정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원청인 대우조선해양과 2015년 공적자금 투입 후 채권단이 된 산업은행이 책임감 있게 나서 달라는 겁니다.

"목숨을 걸고 답을 하라고 이 자리에 섰습니다."

올해 하청 노동자 임금 인상폭은 원청인 대우조선해양이 3% 정도 올려준 기성금에 기반해 논의됐습니다.

현장 노동자 70% 가까운 1만1,000여명이 하청업체 소속으로 직접 파업에 참가한 숫자는 130여명입니다.

"하청 노동자들이 단식농성 까지 선택한 상황에서 정부가 내놓은 답은 불법 파업을 중단해 달란 거였습니다."

정부는 생산시설 점거를 불법으로 정의하고 8천여 원청 노동자에게 피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현재까지 파업으로 누적된 손실이 5,700억원 상당이라고 전했습니다.

"비조합원들의 피해를 당연시 여기는 노동운동은 주장의 정당성 여부와 관계없이 더 이상 우리 사회에서는 용납될 수 없는…."

대우조선해양 수주액은 지난해 108억 달러, 약 14조원입니다.

다만 아직 실적엔 반영이 안 된 상황으로 지난해 1조 7,000억원 적자를 기록해 하청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이긴 어렵단 입장입니다.

정부는 대화를 촉구하면서도 노사 자율 교섭 원칙을 강조해 사태 해결까진 요원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대우조선 #하청 #파업 #단식농성 #원유운반선_점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