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읽기] '기대 인플레' 9년여 만에 최고…물가 더 오를까?

  • 2년 전
[경제읽기] '기대 인플레' 9년여 만에 최고…물가 더 오를까?


일상생활과 밀접한 먹거리와 외식 물가가 고공행진하는 등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9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가 하면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경기 심리는 악화되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소비자가 예상하는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지난 달보다 0.2%p 오른 3.3%로 집계됐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면 임금과 상품 가격 등에 반영돼 실제 물가를 끌어올리는 '2차 파급 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우려가 큰 데요. 어떻게 진단하십니까?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 심리지수'는 석 달 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거리두기 해제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였지만 높은 물가 상승세에 영향을 받은 모습인데요. 내수 회복에 변수가 될까요?

금리 수준 전망지수는 146으로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랐고, 규제 완화 기대감에 살아났던 집값 전망은 3개월 만에 다시 하락 전환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어떤 배경 때문인가요?

수도권 재건축·재개발 사업장에서 분양가 문제로 갈등이 잇따르자 국토교통부가 분양가 상한제 개편 시기를 당초 알려진 하반기에서 6월로 앞당기기로 했습니다. 대폭 수정이 아닌 이주비·원자잿값 상승분을 반영하는 등 '미세 조정'에 무게 중심을 둔다는데 어떤 점을 고려한 걸까요?

정부는 임대차 시장 진정을 위한 전월세 대책도 함께 내놓기로 했습니다. '8월 전월세 시장 대란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이는데, 어떤 카드가 나오게 될까요?

지난주까지 하락세를 보였던 뉴욕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미국 은행주들이 급등하고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중 관세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 발언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걸까요? 증시 추이 어떻게 보셨습니까?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부터 부과된 대중 관세 완화 가능성이 언급되며 철폐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데요. 대중 관세가 완화되거나 철폐될 경우 우리 경제 득실은 어떻게 예상하세요?

미국 증시의 반등에도 불구하고 코스피는 오늘 하락 출발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에도 일제히 하락을 의미하는 파란 불이 켜졌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