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도 전부터 '삐걱'…청년도약계좌 성공할까

  • 2년 전
출시도 전부터 '삐걱'…청년도약계좌 성공할까
[뉴스리뷰]

[앵커]

이달 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청년희망적금 신청이 마무리됐죠.

윤석열 당선인도 청년 금융 공약 중 하나로 이와 비슷한 청년도약계좌를 제시했는데요.

취지는 좋지만 출시도 전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소재형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당선인의 청년 관련 금융공약인 청년도약계좌는 앞서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됐던 청년희망적금과 마찬가지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월 3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최대 40만 원을 지원해 10년 동안 1억 원에 달하는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이달 초 논란 끝에 신청이 끝난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하지만, 소득제한이 없는 만큼 더 많은 신청이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엔 형평성의 문제가 가지 않도록 공정하게 해서, 저축을 할 수 있도록 일관성 있고, 예측 가능성 있게 만들어서…"

다만, 예산 마련이 걸림돌입니다.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만 가입할 수 있었던 청년희망적금에 290만 명이 몰린 만큼, 소득제한이 없는 청년도약계좌에는 더 많은 가입자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재작년 기준 19~34세 청년 인구는 모두 1,096만 명입니다.

"취지는 좋은데, 해당하는 연령대 인원이 얼마나 되는지 제대로 조사하셨는지, 재원 마련은 충분히 됐나 걱정이 되는데…"

일부에선 소득에 따른 형평성 문제도 제기됩니다.

"소득이 높은 분들께서는 연봉이 낮은 분들이랑 비교를 했을 때 연봉 역전 효과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일단, 금융당국도 청년도약계좌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지는 않았다고 밝힌 만큼,

"청년도약계좌는 인수위 구성되면 검토해야 할 사항이라서요…"

인수위 구성 이후 본격적으로 세부 내용이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sojay@yna.co.kr)

#청년도약계좌 #윤석열 #인수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