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 공연계 붕괴 위기...손실보상 시급" 공연기획사들 볼멘 소리 / YTN

  • 2년 전
K팝의 세계적 인기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중음악 공연계가 붕괴 위기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공연을 제대로 열지 못했던 이들은 정부의 차별적인 방역 대책으로 차별 규제에 이어 손실 보상도 소외받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BTS가 2년 만에 연 대면 콘서트.

하지만 그들이 코로나 탈출을 꿈꾸며 노래한 곳은 서울이 아니라 미국 LA였습니다.

일상 회복이라고 해도, 국내 대규모 공연은 여전히 어렵기 때문입니다.

K팝의 선전에도 국내 대중음악 공연계가 허덕이는 이유입니다.

국내 대중음악 공연산업 매출은 코로나 전인 지난 2019년 하반기에만 1,865억 원.

하지만 코로나가 강타한 1년 뒤 같은 기간, 매출은 85%, 관객 수는 86%가 줄었습니다.

공연으로 먹고 사는 공연 기획사들도 코로나 후 1년 만에 매출이 최고 96%까지 줄었습니다.

붕괴 위기의 이런 실적 뒤엔 정부의 불평등 규제가 한몫했다고 업체들은 하소연합니다.

대중음악 공연은 오래전부터 방역패스를 활용하고, 입장객 전원에게 진단 키트 검사까지 하는 등 솔선해 왔는데도

대중음악 공연만 행사로 분류해서 차별적인 기준을 요구했다는 겁니다.

[이종현 /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장 : 거리두기도 몇 인에 한 석씩 띄어야 된다고 하는데 (저희 대중음악 공연은) 큰 공연 같은 경우에 아예 1대 1로 지금 좌석을 띄고 있는 경우도 있거든요. 지난주에 있었던 나훈아 씨 부산 공연 같은 경우도.]

뿐만 아니라, 소소티켓이나 소비쿠폰 등 코로나 극복을 위한 각종 지원책 대상에서도 대중음악 공연만 빠지는가 하면

특히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영업 손실을 보상해주는 소상공인 손실보상에서도 대중음악 공연업체들은 제외됐습니다.

[김남주 / 변호사 : (손실보상법의) 더더욱 문제점은 시간제한한 것만 보상을 하고 그렇지 않은 집합제한에 대해서는 보상을 제외하고 있습니다. 시간제한 외에 다른 띄어앉기나, 인원수 제한에 대해서도, 이런 것도 보상될 수 있도록 (시행령을 고쳐야 합니다.)]

같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조치로 영업을 하지 못했다면 손실도 같이 보상해 달라는 게 이들의 주장입니다.

또 대관자, 공연기획자 말고도 음향이나 조명 등 공연을 열지 못해 손해를 본 모든 관계자에 대해서도 충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습니다.

YTN ... (중략)

YTN 기정훈 (prodi@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11214012119742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