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측 “김한길 함께 가기로”…김병준도 선대위 합류 승낙

  • 2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30~19:00)
■ 방송일 : 2021년 11월 19일 (금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전 윤석열 캠프 비전전략실장],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장현주 전 더불어민주당 민원법률국 변호사, 한민수 전 국회의장 공보수석[전 이재명 캠프 공보수석]

[김종석 앵커]
이 이야기부터 풀어볼까요. 윤석열 후보가 조금 전에 짧은 영상이었지만 여러 의미심장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 도와준다고 말했고. 김한길 전 대표는 고민 중인 듯 도와줄 것으로 믿는다. 인간적 친소관계 아니다. 이현종 위원님. (네.) 이 이야기는 두 사람은 일단 고민 중이고 한 명은 도와준다고 했고. 하지만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아직 합의가 안 되었다. 이런 뜻으로 해석하면 되는 겁니까?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요약하면 3김이냐 1김이냐 이렇게 요약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즉, 김종인, 그다음에 김병준, 김한길. 이 세 명이서 어떤 면에서 보면 삼두마차를 형성하느냐. 아니면 김종인 전 위원장 원톱으로 가느냐. 이제 거기에 따라서 의견이 엇갈린 것 같은데. 아마 윤석열 후보 입장에서 보면 이 권한을 분산시키는 게 유리할 것이라는 판단을 하는 것 같고. 반면에 김종인 전 위원장은 이 선거라는 게 어떤 면에서 보면 이 잡음이 없어야 된다. 그렇기 때문에 권한을 집중시켜야 된다. 즉 내가 원톱이 되어서 어떤 권한을 집중적으로 가지고 있으면서 선거를 해야지. 여러 사람이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면. 선거라는 것이 그렇지 않습니까. 짧은 기간 동안 큰 효과를 봐야 되는데. 이런 어떤 내부적인 논란을 일으키기 시작하면 안 된다. 선거가. 내가 선거 많이 해보았지 않느냐. 이제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거거든요.

더군다나 이제 만약에 선거를 승리했을 경우에 이후의 어떤 문제까지도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게 뭐냐면 윤 후보 입장에서 보면 권력이 어떤 특정 인사에게 집중될 경우에 대통령의 어떤 권한도 굉장히 분산될 수가 있거든요. 이제 그것까지 고려한다면 지금 선대위 구성 자체도 분산형으로 일단 해놓고. 그래야지만 본인이 어떤 운신의 폭이 넓지 않습니까. 만약에 절대적으로 너무 의존한다고 그러면 모든 권력이 그쪽으로 가는 거거든요. 권력의 습성이 그렇습니다. 이제 그렇기 때문에 아마 그 갈등. 즉, 윤 후보 입장에서 보면 권력은 분산시키겠다. 단 그렇지만 김종인 전 위원장은 어떤 예우를 하겠다는 입장인 반면에. 김종인 전 위원장은 내가 원톱이다. 내가 모든 것을 하겠다. 두 김은 필요 없다. 이런 어떤 견해를 피력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윤하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