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연결] 질병청 "지난주 확진자중 20대 최다…식당·유흥시설서 전파 많아"

  • 3년 전
[현장연결] 질병청 "지난주 확진자중 20대 최다…식당·유흥시설서 전파 많아"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설명합니다.

현장 연결해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이상원 /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

먼저 예방접종 주간 현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받으신 분은 1,529만여 명으로서 전 국민의 29.8%에 해당합니다. 이 중에서 접종 완료자는 464만4,000여 명으로 전 국민의 9%에 해당됩니다. 연령대별 1회 이상 접종률은 60대가 83.1%, 70대가 87.5%, 80세 이상에서 78.7%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사회필수인력 등 2분기 30세 미만 접종 대상자 중에서 지난번 사전예약 기간 동안 예약을 미처 마치지 못한 대상자와 또 추가 등록된 대상자분들에 대해서 사전예약이 3일간 진행됩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누리집을 통해서 주소지에 관계 없이 원하시는 예방접종센터로 선택해서 접종일정을 예약할 수 있으니 기간 내에 잊지 마시고 예방접종을 꼭 받아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 분석 결과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체 예방접종 1,880만 건 중 이상반응은 8만4,000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약 0.45%입니다. 신고 사례 중 95.1%는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 사례였으며 나머지 4.9%는 사망 또 아나필락시스 이상반응 등 중대한 이상반응 사례였습니다.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사망자는 335명이며 아스트라제네카 142명, 화이자 192명, 얀센 1명 그리고 모더나는 없었습니다.

지난주 6월 20일부터 6월 26일까지 기간입니다.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은 0.1%로 그 이전 주에 비해서 그 이전 주가 0.46%였는데 이에 비해서는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안전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위해 이상반응 대응방법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리겠습니다. 모든 접종 완료자분들은 예방접종 후 15분에서 30분간은 접종기관에 머무시면서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시고 또한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은 주의깊게 관찰하셔야 됩니다.

또한 접종 후에 최소한 3일 정도의 기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시고 관찰해야 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에 다른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특히 아나필락시스 등 중증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시거나 가까운 응급실을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한편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과 같은 아데노 바이러스 백터 기반의 백신 접종 후에는 4일에서 4주 사이에 혈소판감소성혈전증 의심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럴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으시고 또한 해당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신속히 그 이상반응을 신고해 주셔야 합니다.

혈소판감소성혈전증 의심증상으로 접종 후 4일 이내에 호흡곤란, 흉통 그리고 지속적인 복부통증 등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또 다리 부기와 같은 그런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접종 후에 아주 심하거나 또는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할 수 있고 또 이런 경우에 진통제로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접종 이후에 접종 부위 외에 멍이나 출혈이 생기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망 및 중증 아나필락시스 이상반응 신고 사례 관련하여 인과성을 심의한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까지 총 19회에 걸쳐서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현재까지 사망 및 중증사례 563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274건을 심의하였습니다. 그 결과 전체 심의 사례 중 92건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였습니다.

이번 19차 피해조사반회의에서는 사망 42건, 중증 사례 59건 등 신규 사례 101건과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44건을 심의하였습니다. 신규 사망사례 42건의 평균연령은 79.7세였고 이 중 41명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받은 백신은 화이자가 30명, 아스트라제네카 12명이었습니다.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사례 41건은 예방접종과 사망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추정 사인의 상당수를 차지한 급성심장사, 급성심근경색, 패혈증 등은 백신 접종보다는 기저질환 또 고령에 의해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서 인과성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보류된 1건은 최종 부검 소견 확인과 같은 추가 자료 보완을 통해서 재논의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신규 중증사례 59건의 평균연령은 76.2세였고 이 중 56명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7일 그리고 접종받은 백신은 화이자 43명, 아스트라제네카 15명, 얀센 1명이었습니다.

중증사례 56건의 추정 진단명에 대해 기저질환의 영향과 백신 접종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56건은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해당 질환과의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것으로 그렇게 평가하였고 보류된 사례 3건은 의무기록 등 추가 자료를 보완하여 재논의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는 신규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44건 중 16건에 대해서 인과성을 인정하였습니다.

지난 1주간의 코로나19 발생동향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최근 일주간 일일 평균 491.6명으로 지난주 대비 10.6%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수도권에서 어학원과 주점 관련으로 집단감염이 발생이 좀 증가한 가운데서 제주권을 제외한 나머지 권역 모두 전주에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해외 유입 사례는 일일 평균 42.3명으로 지난주 대비 59.1% 증가하였습니다.

고령층에 대한 예방접종 확대 이후에 추가 사망자는 10명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치명률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주간 교회와 교육시설, 다중이용시설 등 일상 속의 감염 그리고 가족과 지인, 직장 등 소규모 접촉 감염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집단발생과 병원, 요양시설은 또 소폭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다음은 한주 간의 주요 위험요인과 대응방안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에 따라 7월 1일부터 다중이용시설 운영시간과 사적모임 제한이 완화되고 이동량과...

추천